Art Teleported 2021 Reviews & Footage

The Art Show and Conference for Nomadic Artists

CICA Museum invites creative writers, scholars, and artists worldwide to participate in “Art Teleported 2021,” the Art Show and Conference for Nomadic Artists. The art shows will be held on January 20-24, 2021 at the CICA Museum and online at the same time. Due to the uncertain global situation, the conference will be held online on January 23-24, 2021.

Through Project Art Teleported, we aim to create a global network among nomadic artists, designers, audiences, and communities and promot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each other, so they can make, share, appreciate, and live in art in any region and culture.

2021년 1월 CICA 미술관 주최 노마드 아티스트를 위한 국제 컨퍼런스 및 전시 “Art Teleported”에 전세계 아티스트, 학자, 미술 애호가들을 초청합니다. 행사는 2021년 1월 20-24일 CICA 미술관과 온라인에서 동시에 열립니다. 컨퍼런스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요하는 국제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개최됩니다.

Art Teleported 프로젝트를 통해 전세계 작가, 디자이너, 관객, 주민들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각자의 공간에서 고유의 문화를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세계적인 수준의 예술문화를 창출하고, 공유하고, 즐기고, 감동을 주며, 예술이 삶에 스며들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Reviews

Art, Pandemic and Mobility; Art Teleported 2021 – Shin Min Kyung 신민경 [EN]

In the new era of pandemic, art is a form of sympathy, relief and hope. Either creating or viewing others’ art fosters mental well-being owing to the healing power of art. In this sense, the essence of every art discourse is identical: touching people’s heart. In fact, self-isolation amounts to nothing for wandering artists anymore as to enjoy sensual interactions.

With regard to art’s resilience, an international art show and conference for the nomadic artists, alias ‘Art Teleported 2021’ mainly hosted by CICA Museum, had successfully provided virtual space to vigorously share deep affections toward visual art. Due to the uncertain worldwide situation, the event was held via Zoom on both Jan 23 and also the following day. Each of 9 presenters delivered their artistic speculations and exertions in the face of these difficult periods.

First and foremost, PURGE team consisted of Nobuko Tsuruta(Fiber Artist), Takemi Kitamura(Dancer), and Yuki Neo(Photographer), proved a considerable potential in collaboration. They maximized the synergy through balancing. Their initial common aim was to pull out entire repressed feelings within moder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motive, Nobuko Tsuruta made a costum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silk. Thereafter, every gesture implying the expandability of one’s unconsciousness was skillfully captured.

Next, Maura McCreight highlighted the circulation of images within political and artistic networks of exchange between North Africa and Europe. Her key theme was visual mobility and containment. She defined herself as an activist and showed an interest in non-traditional art mediums covering aesthetics seized by women combatants or political prisoners during confusing times such as the Algerian War of Independence.

Then, Becky Beamer brought out several projects in order to emphasize the fact that artistic inspiration could be anywhere if people subtly strain their ears to the surrounding world. She asserted that the immortality of art gets evidently bigger via mobility. The lecture’s title also matched her idea that an exposure to new environment and being outsider from the inside is actually cool.

Furthermore, Qiuwen Li focused on visualization of invisible values, particularly emotions. Her primary concern was about a detailed transition in order to resonate with visual formal language adopting design elements. It was tantalizing to glimpse the likelihood of sentiment as a communication tool.

Moreover, Olivier Peyran flung a notion that AI is currently replacing religions. AI undeniably reached mighty strides and its superior intelligence and capabilities are overwhelming. He stressed that there is no need for supernatural corresponding to the phrase of “God is Dead” and “Long live AI”. Perhaps, 100% AI might be feasible in the remote future.

In addition, Kajin Kim stipulated image as mediator, citing an example of Moneki Neko.She unraveled amusing narratives of the subject, which later function as elegant clues to build psychic connection between viewers and the artist. Not missing those fragile linkages while appreciating the work is crucial to get the hang of communing nature in varied digital images.

Also, Jiaqi Li stated a new trend in the visual art field: living spaces are pictorialized. He was notably dialed into the contradiction of visual perception. He pointed out inevitable optical illusions and suggested multiple de-camouflaging measures for the solution. He brought distinguishing differences between reality and so-called utopia to the fore. Manifest things are sometimes not the truth so a manner of embracing fakes is growingly needed.

Meanwhile, Lee Hau Yi is an artist having faith that art cultivates sensibility of humanity, politics, moralities and ecology. She freely passed on feelings of unattractive outburst in her artworks. She offered visual consolation to the viewers. Since a bit of sweet is desperately required in these bitter moments, her sincereness struck a chord during the whole speech.

Lastly, Haeseung Yun shared her recent agonies as a young artist. For instance, she raised a question about how artwork roles in physical spaces. Her goal is to effectively transfer personal subject matter in to the general one. Her endeavors to convey a lesson to society under personal bound were surely worthy of praise.

Art Teleported 2021 was part of ‘ResiliArt’ movement. It got people together, inspiring, soothing and sharing. This is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such international art show and conference should rise.

Art Teleported 2021: Teleported to the artist’s world – HaKyung Jung 정하경 [EN]

More than a year after the onset of COVID-19,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our daily lives. In particular,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unlike in the past, where you can see your work directly in the physical space of the exhibition hall, we can now access artistic works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online and VR exhibitions. Not only that, the format of conference is also changing. Art Teleported 2021 was an online conference held by the CICA Museum through Zoom, Facebook Live and the CICA Museum homepage from January 20th to 24th, 2021. Since 2014, the CICA Museum has held various publications, exhibitions, and conferences to promote communication in the visual arts world. Through Project Art Teleported, it has established a global network of artists, designers, audiences and communities.

Art Teleported 2021 was dedicated to 10 artists (Nobuko Tsuruta, Takemi Kitamura, and Yuki Neo, Maura McCreight, Becky Beamer, Qiuwen Li) on January 23 and 24. Because it took place in an online virtual space, there was no limit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and people could enjoy the diverse works of artists from all over the world. It was a special opportunity not only to feel as if the artist himself were a docent, but also to hear in-depth explanations of the artist’s artistic worldview and value, so participants could focus more on the work than on any exhibition experience. It’s like the audience moves into the world of the artist’s art. Throughout the event, all artists and panels were open to questioning and sharing new ideas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rtists from all over the world participated, and the themes, expressions, and forms of the work were varied.

Nobuko Tsuruta, Takemi Kitamura and Yuki Neo were sharing their inspiration and creating their own new art projects.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grew up in Japan, but they were working in a different art field. Nobuko Tsuruta worked in the fashion industry for eight years after graduating from Rikkyo University’s Faculty of Economics, then moved to New York before developing an interest in textile art. She practiced at Loop of The Loom Weaving Studio in Manhattan and made her own style. After, she has held exhibitions in New York, Japan, France, Germany and Korea as a fiber artist. Takemi Kitamura graduated Phi Beta Kappa with a BA in Dance-Education from Hunter College, and she has continued her work in various places including Blood Moon by Beth Morrison Projects at Prototype Festival 2020 (choreographer/dancer/puppeteer), The Oldest Boy (puppeteer/dancer) at Lincoln Center Theater, The Indian Queen (dancer), an opera directed by Peter Sellars, Demolishing Everything with Amazing Speed (puppeteer) by Dan Hurling, Shank’s Mare (puppeteer) by Tom Lee and Koryu Nishikawa V, and Falling Out (puppeteer/dancer) by Phantom Limbs Company, and SLEEP (dancer/ensemble) by Ripe Time. Yuki Neo received an MS in Advertising from Northwestern University. After graduation, she worked for a major advertising agency operating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she developed an interest in photography while cultivating creative perspectives. After 12 years of work, she studied at The International Center of Photography in New York in 2009 and started working as a photographer. Since then, it has been published in Japanese publications, websites, and social media. These three artists exchange artistic activities with each other and continue to work with new inspiration. In particular, the work “PURGE” introduced at this conference is a textile work using silk material, and silkworms are made from its own body. It is recognized as having life forc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piritual values in a constantly changing world, and trying to find a vision for future value.

Becky Beamer is a documentary filmmaker, book artist, and Fulbright Fellow who has produced documentaries for 15 years including National Geographic, Smithsonian, Discovery and PBS. She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t the American University of Sharjah in the Art & Design Department with a specialty in Film, Photography, Book Arts, and Multimedia, and covers a variety of social issues. In particular, she focuses on issues against inequality and encourages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cross-cultural communication of individuals who belong to a group. “In particular, the work “”Nomadic Object Sessions”” presents us with a variety of themes that we are currently thinking about.” She spent most of her time indoors during the COVID-19, making it difficult for her to come into contact with new cultures and environments, and distancing herself a little from material values such as clothes, jewelry and makeup. She said that her toilet, the water cooler, and television for their materiality and also now company. These object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easily in everyday life have come to exist as friends, they feel that there is no value for the object. It is said that she recognized these things as one object, and recognized them as a material that connects the world and her. And this is how she talks about her art perspective. “I believe in the immortality of art & collaboration. Every adventure supplies new inspiration for artistic expression, content and process. With so many stories to tell, there’s no reason to stay in one place. My artistic practice reflects a multi-disciplinary background in documentary film, photography, book arts, and multimedia installations. Progress towards new knowledge must be unrestricted by conventional expectations and labels. The story dictates the medium.”

Qiuwen Li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Graphic Design in the Department of Art and Art History at Santa Clara University in CA, U.S. She also is the co-founder of emotionlab, a progressive research lab to creat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for people through innovative design approaches to human problems. She was born in China and earned her B.F.A. in Graphic Design from St. Cloud State University and received her MFA in Visual Studies from the Minneapolis College of Art and Design. She has been recognized with several awards during her career including Winner of Design and Design International Award (Paris, France), Winner of Creative Quarterly in both Fine Art and Graphic Design Category (New York, USA), 1st prize in LAG Festival Poster Competition (Katowice, Poland). She uses a variety of graphic elements (shapes, color, pattern, type) to expand the scope of her design experience. At “Alone Together 2020”, we will focus on the emotions that run between the public and the mass media. Based on an article about COVID-19 published in The New York Times, viewers begin to interpret the work absorb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images rather than directly accepting the facts by interpreting the characters.

Jiaqi Li conducts his artistic activities through visual media such as photographs and images. He entered the group show “ASA-XYZ Young Artist Award Nomination Exhibition” (2018) and the “2018 Art Nova 100” Opening Exhibition in Guardian Art Center in Beijing as a young artist. In 2020, he received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s Clay Morrison Scholarship, that encourages graduate students to study art originating from beyond the academic mainstream. In particular, he said he draws a lot of inspiration from phenomena in modern society. He uses laser printing, moving images and already-made objects to express contradictions in reality, leaving room for discussion for those who appreciate the work. His art works not by direct solutions to everyday problems, but by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talk.

예술의 미래를 위한 국제 현장, Art Teleported 2021 Show – 정혜성 [KR]

CICA미술관은 2021년 1월20일부터 24일까지 CICA미술관과 온라인으로 국제 컨퍼런스 및 전시 을 주최하였다. 2019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개최한 국제 컨퍼런스 을 첫 시작으로 올 해로 3년을 맞이하는 는 국제 상황을 고려하여 CICA미술관 현장과 온라인을 통해 2021년 1월 23일과 24일 양일간 진행되었다. 정부 지침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행사가 비대면으로 이루어졌음에도 전세계 노마드 아티스트들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는 참여자들의 예술에 대한 뜨거운 열정과 관심에 힘입어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글로벌 아티스트와 학자, 디자이너와 미술애호가들을 초청한 CICA 미술관의 전폭적인 지지와 대중의 성원은 컨퍼런스에 참여한 사람들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었다. 페이스북 라이브와 줌으로 진행된 국제 컨퍼런스에는 국제적으로 활발히 활동하는 아티스트와 학자, 디자이너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초청되어 AI, 그래픽 디자인, 회화 등 국제 예술 트렌드에 대한 담론을 공유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로서 대화의 장(場)이 구축되었다.

2021년 1월 23일과 24일 양일간 이루어진 국제 컨퍼런스는 한국시간으로 23일 오전 9시부터 발표자들간의 인사와 리허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컨퍼런스 준비에 들어갔다. 발표자들은 개별적으로 준비한 발표 자료를 줌을 통해 화면 공유하여 테스트 하는 시간을 가졌다. 곧 이어 오전 11시까지 웰컴 파티와 CICA미술관 전시 투어가 이루어졌다. CICA미술관의 전시 방향과 역사, 행사 등 미술관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와 전시 현장 설명이 이어졌다. 2019년부터 3년 간 진행된 는 글로벌 아티스트들이 서로의 다양한 예술 세계와 문화를 공유하고 담론을 나눈다는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 국제 컨퍼런스의 현장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점심 식사 후 12시부터 본격적으로 컨퍼런스가 시작되었다. 발표자들은 간단한 자기 소개 후 서로 예술 세계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진다. 첫 순서로는 Nobuko Tsuruta와 Takemi Kitamura, 그리고 Yuki Neo가 맡았다. Nobuko Tsuruta는 “PURGE”를 소개하여 그들의 작품론과 예술 세계를 설명하였다. Nobuko는 일본의 카마쿠라에서 태어나 릿쿄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였다. 대학 졸업 후 약 8년 간 의류 업계에서 일한 그녀는 남편과 결혼하며 뉴욕으로 이주했고 그녀의 아들이 5살이 되던 해에 SAORI라는 뜨개 워크숍에 우연히 참석하면서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맞이하였다.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스튜디오에서 매주 규칙적으로 작업하면서 그녀만의 독자적인 창작 스타일을 발견하는데 힘쓸 수 있었고 뉴욕, 일본, 프랑스, 독일, 그리고 한국에서 전시를 개최한 바 있다. 함께 작업한 Takemi Kitamura는 오사카 출신으로서 헌터 칼리지에서 무용교육을 전공한 인재다. 그녀는 유수의 국제 페스티벌에서 대중의 눈을 사로잡는 공연을 선보였으며 우수한 성적의 학생에게만 주어지는 상을 수상하는 영예 또한 얻었다. Yuki Neo 또한 일본 출신으로 동경 기독교 여대를 졸업한 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통해 광고학을 연구하였다. 사진가였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릴 때부터 암실에서 흑백 필름을 접했으며 자연스럽게 포토그래피와 광고 및 시각 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미국과 일본 양국에서 광고 대행사에서 경력을 쌓으면서 사진에 대한 혜안 얻은 후 12년의 노력 끝에 2009년부터 뉴욕 국제 사진센터에서 공부하면서 전문 사진가로서의 본격적인 발판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 발표자인 Maura McCreight는 뉴욕 시립대학교에서 예술사를 전공한 후 예술사를 교육하고 있다. 박사과정을 수료한 재원인 그녀는 북아프리카와 유럽 사이의 정치적 예술적 네트워크의 이미지 순환을 연구한 바 있다. 특히 1954년부터 1962년까지의 알제리 독립전쟁 기간 동안의 여성 정치범들에 관심이 많은 그녀는 사진술과 스토리텔링에도 조예가 깊다. 이전 프로젝트를 통해 여성 정치범들에 대한 법적 지원을 수행하였으며, 성폭력과 젠더 이슈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아 최근에도 다방면에서 사회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예술적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세 번째 발표자인 Becky Beamer는 유능한 다큐멘터리 영화제작자이면서 예술가로서 활약하고 있는 재원이다. 그녀의 전문 분야는 국제 사회의 정의를 개별적 정체성과 문화 교류적 소통과 더불어 이야기로 쉽게 풀어내는 것이다. 그녀는 다큐멘터리 영화에서부터 설치예술, 그리고 조각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주로 프로젝트를 확장시키면서 예술적 활동을 이어왔다. 현재까지 15년 동안 그녀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스미소티언, 디스커버리, 그리고 PBS등과 함께 다큐멘터리 영상을 작업한 바 있다. 프랫 인스티튜트와 알라바마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그녀는 현재 아메리칸 대학교에서 조교수직을 수행하면서 예술관련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그녀의 모토는 “모든 모험은 예술적 표현과 과정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영감을 제공한다는 것과 이야기들은 한 장소에 정체되어 있지 않고 움직인다”는 것이다.

네 번째 발표자인 Qiuwen Li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 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 조교수직을 수행하고 있다. 그녀는 인간 문제에 관해 혁신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도록 디자인하는 이모션랩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중국 태생의 그녀는 학부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한 후 대학원에서 예술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이어왔다. 미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여성으로서 그녀는 정체성 측면에서 독특한 이방인적 관점을 가졌고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의 자신의 존재에 대해 진지하게 정립해나갔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형태와 색깔, 패턴과 유형으로서의 그래픽 요소들을 재정의하고 다시 무너뜨린 후 재차 완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그녀는 그래픽 디자인의 의미와 예술적 경험을 다채롭게 확장하였다.

2021년 1월 24일 오전 9시에는 의 마지막 날로 전날에 이어서 컨퍼런스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순서로는 Olivier Peyran가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AI에 관한 자신의 작업을 발표했다. AI를 연구하는 과학자로서 그는 리옹에서 연구하였고 졸업 후 싱가포르에서AI기술과 과학 연구에 매진하였다. 현재는 아시아와 유럽의 기업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

다음 발표자인 Kajin Kim은 서울의 홍익대에서 조소를 전공한 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서 뉴욕시립대학교 헌터 칼리지를 수학한 재원이다. 그녀는 최근 뉴욕에서 비디오 아티스트로서 활발히 활동하면서 한국와 일본뿐만 아니라 독일과 미국에서도 그룹 전시에 참여한 바 있다.

다음 발표자인 Boris Debackere는 UIL의 회원으로서 AI매니페스토를 발표하였다.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AI의 미래와 현재에 대해 고찰하는 관점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UIL 그룹의 역할에 대해 대중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시간을 가졌다.

점심식사 후 12시부터 이어진 세션의 첫 발표자는 Jiaqi LI였다. 그는 시각 예술가로서 대중이 바라보는 현실에 대해 질문하기 위해 그림과 이미지를 사용한다. 그의 작품 세계에 따르면 이미지들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생산되고 순환되면서도 속임수로서 존재한다. 스스로를 이상주의자이자 현실주의자, 낙관주의자이자 회의주의자로 인식한다는 그는 중국에서 예술을 전공한 후 전액장학생으로 시카고에서 예술을 연구하는 영예를 얻었다. 그룹 전시를 비롯하여 베이징 가디언 아트센터의 개관 전시에 참여한 바 있는 그는 시각 예술 전공자로서 세상을 이미지로서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점진적인 고찰과 트릭 등에 대해 진지한 질문을 던지고 의미를 생산하는 작업을 이어 왔다.

다음 발표자인 Lee Hau Yi는 홍콩에서 예술을 전공한 후 시각 예술에 기반한 크레이티브 디자이너이자 예술가로서 활약하고 있다. 런던에서 약 1년간 여행과 학업에 매진한 그녀는 디자인 작업과 회화를 위한 스튜디오를 마련하고 그 곳에서 그녀는 예술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그녀의 예술작업은 동시대 예술의 복합성을 비롯하여 인류, 정치, 도덕성 등 다양한 요소를 담고 있다. 국제 타이페이 일러스트 박람회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시 및 그룹 전시에 참여한 바 있는 그녀는 최근에는 협력 그룹 전시를 온라인에서 기획하였다.

마지막 발표자인 Haeseung Yun은 한국 태생의 아티스트로서 골드스미스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재원이다. 그녀는 자신과 가족, 친구, 그리고 주변 동물 등에 이르기까지 먼 곳이 아닌 가까운 주변의 존재에 관심이 많다. 주로 회화를 통해 작업을 실천해 온 그녀는 사회 속에 존재하는 개인의 경험과 순간들을 기록하는 섬세한 작업을 수행하여 그녀만의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아티스트의 작업은 지극히 사적이면서도 작품 외적 세계와의 경계가 어느새 사라져 미술관에 전시될 때는 새로운 위치와 의미가 부여되는 현상을 보인다. 작가 자신이 기록하는 관찰의 완성물이자 다큐멘터리와 같은 작업들은 단순히 그녀가 바라보는 시선에 머무르지 않고 그 너머의 새로운 공간과 미술관 등 공공 장소에서 재탄생 되어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CICA미술관이 주최하는 는 2019년부터 시작되어 온 국제 컨퍼런스로 단순히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학자와 미술 애호가, 과학자 등 다방면에 종사하는 재원들을 초청하여 그들의 독자적인 예술적 정체성에 주목하는데 그치지 않고 과학기술과 예술의 경계, 사회 개입 예술들을 컨퍼런스의 수면위로 등장시킨다. 나아가, 국제 예술 트렌드와 예술의 역할 등 주요 이슈를 언급하여 예술의 미래를 의논하고 발전시키는데 컨퍼런스의 의의가 있다. 나날이 발전한 과학기술은 회화의 한계를 능가하여 평면 아트의 한계를 굴복시키고 AI기술로서 새로운 예술 세계를 창작하고 확장시키는데 일조한다. 그러므로 국제 컨퍼런스는 예술의 미래에 대해 질문을 쉼 없이 던지고 있다. 예술의 현 주소와 미래에 관한 담론과 원활한 소통을 통해 현대인의 일상적 삶에 자연스레 예술이 스며드는 것이 가능하게끔 한다. 는 예술인들의 사명감을 고취하여 나날이 발전하는 성숙한 국제 컨퍼런스의 장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CICA미술관이 주최하는 국제 컨퍼런스가 글로벌 아티스트와 학자, 디자이너, 대중 등의 예술적 네트워크를 면밀히 이어주며 예술의 가능성과 미래를 제시하는 국제 컨퍼런스로서 앞으로 매년 굳게 자리잡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Art Teleported 2021 : 새로운 소통의 가능성을 마련하다 – 장지영 [KR]

‘코로나19 판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상황은 우리가 직접적인 대면 소통을 할 기회를 앗아갔지만, 오히려 우리는 이로 인해 시공간을 초월한 새로운 소통 방식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화상 채팅 프로그램을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 적이 있었던가. 이런 사실로 미루어 보면, 코로나 사태의 지속은 우리에게 끝없는 절망만을 체험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의 길 또한 제시해 주는 것 같다.

‘Art Teleported 2021’이 보여준 모습이 바로 이러한 가능성이다. 1월 23일, 24일 양일에 걸쳐 진행된 본 행사는 CICA미술관의 김리진 아트 디렉터를 포함한 9명의 예술인들이 참가하였다. 국경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시차를 경험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움을 향한 예술인들의 활력은 이를 막론하고 논의를 더욱 다채롭게 만들어 갔다. 23일에는 Nobuko Tsuruta, Takemi Kitamura, Yuki Neo의 세 명의 예술가들로 구성된 프로젝트 팀과 Maura McCreight, Becky Beamer, Qiuwen Li의 발표가, 24일에는 Olivier Peyran, Kajin Kim, Jiaqi Li, Lee Hau Yi, Haeseung Yun의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한국의 전통 음악인 판소리 공연을 함께 관람함으로써 전체 행사가 마무리되었다.

Nobuko Tsuruta, Takemi Kitamura, Yuki Neo, “PURGE”

화려한 의상을 입은 퍼포머가 다채로운 동작을 펼쳐 보인다. 쉽게 닿을 수 없는 어떤 지점을 향하는 듯 한 그녀의 행위는 마치 뮤지컬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한다. 우리는 그 지점이 어디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사진 속 행위자는 우리로 하여금 그 지점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질문이 끊이지 않게끔, 우리의 오감을 부드럽게 유도하는 것 같다. 오직 몸짓, 실크 천의 움직임, 표정 등 감각의 언어를 통해서 말이다. 사진을 구성하는 행위자(퍼포머)와 그녀의 의상이 서로를 돋보이며 한 화면에 조화롭게 구성되어 신비로운 느낌을 잔뜩 자아낸다.

퍼포머인 Takemi Kitamura, 의상 디자이너인 Nobuko Tsurata, 그리고 사진 작가인 Yuki Neo로 구성된 이 퍼포먼스 그룹은 수많은 문화적 상황과 국가를 경험함으로서 많은 예술적 영감을 받았다. 이들은 다양한 차이를 있는 그대로 긍정함을 통해, 그리고 자아의 새로운 국면을 찾아내고 이를 외부로 표출함을 통해 항상 새로움을 경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축적된 경험과 감각들이 Takemi의 신체를 통해, Nobuko의 실크 천의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Yuki의 사진은 이들이 표출한 것들을 최대한 생생하게, 원본 그대로 한 화면에 재현해 낸다.

“우리는 (우리가 지내 온) 환경으로부터 생겨난 영감을 서로 융합하고자 한다. 우리는 서로 영감을 주고받고 있고, (이로써 나타난) 사진, 비디오, 섬유 예술, 공연 예술 등의 다양한 작업들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통찰력과 신비한 힘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존재의 변혁점을 찾고 있으며, 관객들 또한 그들 자신의 신비한 영적 단계에 닿을 수 있도록 영감을 주고 있다.”

본 행사에 소개한 작업은 Yuki의 사진 작업 뿐이었지만, 이들은 이 외에도 비디오, 섬유 예술, 퍼포먼스 등의 다양한 예술 영역들을 넘나들며 활동하고 있으며, 더욱 다양한 분야로도 작업을 확장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 주었다. 또한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여타 웹사이트 등 현대인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SNS매체들을 통해서도 자신의 작업을 보여 주고 싶다는 이야기를 전했다.

Maura McCreight, “Visual Mobility&Containment: Movment between North Africa and Europe expressed by artists Sydia Ourahmane and Ursula Biemann”

완전히 다른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깊은 역사적 이슈가 그들 사이에 가로놓여 있는 두 국가가 우리에게 던질 수 있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그리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 정치적 문제들은 예술을 통해서도 해소될 수 있을까. Maura McCreight의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어렴풋이 제공해 준다. 그녀는 현재 뉴욕시립대학교(CUNY)의 미술사 전공 박사과정 중에 있으며, 뉴욕시립대학교의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미술사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녀는 북아프리카와 유럽 사이의, 정치적/예술적 영역에서의 교환된 네트워크들을 표방하고 있는 이미지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특히 국가적 억압에 대한 저항의 전술로서 예술 매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따라서, 이번에 그녀가 소개한 스위스 아티스트인 Ursula Biemann은 이러한 그녀의 관심 분야와 일치하는 동시대 작가로 손꼽을 수 있겠다.

Ursula Biemann 역시 외딴 지역을 여행하며 그들의 현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연구 결과들을 다큐멘터리나 비디오 작업으로 만들어 내는데, 이는 상당히 생태학적이며, 이 세계와 다른 세계를 연결지어줄 수 있는 연결점을 마련해 주는 듯 하다. 활자를 통한 언어가 아닌 이미지, 스토리를 통해 개진되는 상반된 세계들에 대한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두 세계들에 공통적으로 담겨져 있는 함의들을 도출해 낸다. 이것이 직관적으로 드러나 있는 이미지가 우리들에게 건넬 수 있는 메시지는 충분히 숙고해 볼 가치가 있는 것일 테다.

Becky Beamer, “An Outsider’s Perspective from the Inside”

다큐멘터리 작가이자 북 디자이너인 Becky Beamer는 현재 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하고 있다. 미국인의 몸으로 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하는 그녀는 사실상 ‘외부인’이다. 그녀는 이런 자신의 특수한 상황을 견지하여, 외부인의 시선으로 아랍에미리트, 즉 ‘내부’의 삶을 관찰한다. 이는 ‘내부에 대한 외부자의 관점’에서 그들의 삶을 색다른 방식으로 포착해 내고자 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그녀가 최종적으로 꿈꾸는 모습은 문화나 인종적 차이를 넘어서는 통합이며, 다채로운 작업들은 그를 위한 시도들로 읽힌다. 그 시도의 일환으로, 작가는 ‘Nomadic Objectcessories’와 ‘No Date For You’라는 두 작업을 소개했다.

‘Nomadic Objectcessories’는 평범한 생활 공간에 실을 이용해 만든 (마치 장기의 형태와도 같은) 오브제들 추가로 설치한 작업이다. 익숙한 생활공간과 그 공간을 침투한 일련의 설치물들은 부조화를 이루지만, 그래서 새롭다. 낯선 두 가지의 오브제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공간적 지평을 경험하게 하는 그 작품들은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소통의 가능성을 제안해주는 듯 하다. 이는 마치 ‘외부자’로서 새로운 문화 공간에 거주하고 있는 작가의 모습 또한 떠올리게 한다. 각각의 매체들이 함의하고 있는 서로 다른 지향점들과 환경은 작가의 작업을 통해 하나의 공간으로 조화되어 나타나고, 이는 단순히 두 매체가 함의하고 있는 문화적 지평의 결합을 넘어서는 새로운, 제 3의 공간적 지평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우리로 하여금 상상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리고 그 공간이 바로 작가가 꿈꿔 오던 ‘통합과 소통의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No Dates For You’는 작가가 직접 만든 작은 책이 유리병 안에 담겨 있는 작업이다. 일련의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작고 두꺼운 책이 고급스러운 유리병 안에 담겨 있는 모습은 마치 책이 담고 있는 정보를 보호하고 있는 듯 보인다. 여기서 책을 포함하여 그것이 담겨 있는 유리병까지 아랍에미리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만들어졌고, 이를 다뤄 작품화한 사람이 작가 자신이라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작가 자신이 그들의 문화를 긍정하고, 언제나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이야기하는 듯 하다. 여기서 책이 ‘갇혀’ 있고, 작가를 비롯한 우리들은 그것을 열어 그 책의 내용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내부자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갈 방법을 고안하는 작가의 노력과 열정이 돋보인다. “나는 예술과 공동 작업의 불멸을 믿는다. 모든 모험은 예술적 표현과 그 내용, 과정에 있어 새로운 영감을 제공한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이 있는데 굳이 한 곳에 머물 이유는 없다.”

Qiuwen Li, “Emotion in Communication Design”

디자인은 우리 일상과 가장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예술 장르일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을 예술의 영역에 놓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뜨겁게 제기되고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 디자인과 순수 예술이 지향하는 부분이 서로 다르다고 하는 의견과, 그들이 공통된 지점을 경유하고 있다는 의견이 대립되고 있는 것 같다. 어떤 의견도 완전한 답변을 제시하지는 못하겠지만, Qiuwen Li의 디자인 프로젝트와 그의 작품은 이 유구한 문제에 대한 답변을 어느 정도 명쾌하게 제공하고 있다. Qiuwen Li는 단순히 시각적인 호소를 넘어서서, 감정의 영역에까지도 닿을 수 있는 혁신적인 디자인 접근법을 창안해 낸다.

이러한 작가의 디자인 미학이 반영되어 있는 프로젝트가 바로 “Happiness Participatory Media” 이다. 이 프로그램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국적과 나이, 성별 등을 불문한 최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이미지를 해시태그별로 분류한 뒤, 각 이미지에 나타나는 표정을 분석해 드러나는 감정들을 도표로 수치화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동일하게 정의할 수 있는 감정이더라도 다양하고 세부적인 외부적/내부적 요인들을 통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포착한다. 나아가, 작가는 이런 개개인의 미세한 감정 표상들을 나타내 주는 다양한 캐릭터들을 디자인한다. 행복, 슬픔, 분노, 놀라움 등의 일률화된 감정적 표상들 아래에 동일하게 놓여져 있었던 것처럼 보였던 사람들은 이를 통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작가의 이런 섬세한 프로젝트는 거대 담론 아래에 단순한 부산물 덩어리로 뭉쳐져 있는 것 같았던 개인의 모습에 밀도를 더해 준다. 개인의 현재, 그로 인한 과거, 그가 속해 있는 집단적 공동체의 특징들이 작가가 분석한 표정 데이터들 안에 섬세하게 녹여져 있다.

이와 함께, 작가는 ‘Alone Together’ 시리즈를 함께 소개했다. 이 신문에는 언어가 없고, 다양한색 체계들만이 언어가 있는 자리를 채우고 있는데, 이는 사물의 명증한 형태를 모호하게 하는 모자이크를 떠오르게 한다. 여기서 사용된 각각의 색들은 감각적 요소들을 나타낸다. 우리는 신문이 정확하게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 내용이 우리로 하여금 어떤 ‘감정’을 들게 하는지는 알 수 있다. 하나의 언어 체계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동일하게 이해할 수 없지만, 감정들만큼은 어떤 인종적 차이를 막론하고 동일한 체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언어는 그 사회성으로 인해, 항상 명증함의 상징으로 기능해 왔다. 하지만 작가의 작업은 ‘감정’이라는 방식 또한 활자로서, 새로운 언어 체계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이는 우리에게 소통의 가능성에 대한 영역을 한층 더 넓혀 주는 듯 하다.

Olivier Peyran, “God is Dead, Long live AI.”

현대 사회에 AI가 가지고 있는 위상은 대단하다. AI는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때로는 모호한 일상에 명쾌함을 제공해 주기도 한다. 따라서 때때로 AI는 인간 이상의, 인간을 초월하는 존재로 생각된다. 그래서 AI를 신에 빗대어 표현하는 작가의 표현이 퍽 명쾌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제기되는 여러 문제들은 이런 AI의 존재와 절대성에 대한 우리의 믿음에 의문을 가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는, 이 AI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Olivier Peyran은 일련의 프로젝트를 통해 AI가 진정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AI와 인간과의 관계는 어떻게 다시 고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는 복잡한 합리화(최적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God is Dead, Long live AI’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는 트위터를 통해 진행된다. 작가는 트위터를 통해 ‘Daimon’이라는 가상의 챗봇을 만들어 낸 후, Daimon에게 채팅을 보내는 사람들과, 그에 대한 Daimon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서 AI의 한계점에 대해 다시금 짚어 내고, 이를 통한 진정한 교류와 소통의 문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사람들의 다양한 감정들에 기인한 언어와는 달리, Daimon의 감정은 인간의 감정을 모방하고, 이를 체계화한, 일련의 법칙에 의거한 결과물일 뿐이다.

작가에 의하면, 현대인의 생활 체계 위에 군림하고 있는 듯한, 신과 같은 AI의 비밀은 높은 지휘권에 있다. AI는 절대로 부정할 수 없는 근거들을 제시하기에, 우리는 함부로 그에게 반박할 수 없는 것이다. 현 시대에는 부재하는 신의 자리를 AI가 대체할 수 있게 되었고, 우리는 신을 믿듯 그에 대한 신뢰를 보이지만, 돌아올 수 있는 답은 진실의 모사된 파편들일 뿐이다. 작가의 프로그램은 AI의 절대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함으로서, 우리로 하여금 진정한 인간적 가치에 대해 숙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는 듯 하다. 작가에 의하면, 감정은 창조되는 것이 아니며, 순수한 감정을 창조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인간뿐이다.

Kajin Kim, “Image as Mediator”

이미지는 소통과 정보 전달에 있어 가장 직접적인 수단이지만, 이런 편리함으로 인해 그것이 담고 있는 의미 체계마저 축소화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이미지에 대해 제기되는 필수적인 문제점일 것이다. Kajin Kim의 ‘마네키네코’ 시리즈는 우리에게 이런 이미지의 의미에 대해 다시금 숙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작가는 ‘마네키네코’를 통해 “어떻게 이미지가 인간의 소통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마네키네코는 일본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물이지만, 그 이미지의 파급력으로 인해 일본 이외의 다양한 국가에서도 형태의 변화를 거치며 소비되어 왔다. 이로 인한 마네키네코의 다채로운 모습들은 그것이 발생한 시대와 문화를 반영하는, 문화 융합의 형태를 띄었으며, 이는 곧 문화 통합의 장으로도 해석될 수 있게 되었다. 마네키네코는 이제 다양한 것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형태는 국적에 상관없이 어떤 소통과 공감을 자아낸다.

작가는 자신의 작업이 관객들로 하여금 이미지가 표현하는 상징적 의미를 다시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사람들은 단지 마네키네코의 시각적 이미지에만 집중해 소비할 뿐, 그것이 표명하고 있는 의미와 역사적 함의에 대한 고찰은 잘 하지 않는다. 상술했듯, 이미지는 가장 직접적이고 간편한 소통의 매개이긴 하지만, 그 강렬한 시각성으로 인해 자칫 사람들을 현혹시키기도 한다. 이미지는 그 다양성으로 소통의 장소를 넓혀 주기도 하지만, 오히려 소통의 부재를 초래하기도 한다는 양면성의 띄고 있는 것이다. 작가의 작업들은 이로 인한 문제점들을 우리에게 상기해 주는 듯 하며, 이미지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진정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숙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Jiaqi Li, “New Trend: Pictorialized Living Space”

“그는 사진/이미지를 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시각적 경험에 도전한다. 그는 우리 주변에 도사리고 있는 이미지의 속임수가 가져다주는 유머에 사로잡혀 있는데, 여기서 이미지는 속임수나 위장, 때로는 이상적인 시각의 한 예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생산되고 유통되기 쉽다. (이런 이미지의 특성을 매개로 작업을 진행하는 스스로에 대해,) 그는 본인을 낙관주의자인 척하는 비관주의자, 이상주의자인 척하는 현실주의자라고 칭한다.”

풍경 이미지를 마치 풍경의 일부처럼 사용하는 작가의 작품은 마치 어떤 메시지를 함의하고있는 광고 포스터 같기도 하고, 인터넷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머스러운 사진들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우리들의 감각 체계를 혼동하게 해서, 마치 우리를 놀리는 것과 같은 이미지들 말이다. Jiaqi Li가 나타내고자 하는 부분은 상술한 유머 이미지들이 포착하고자 하는 부분과 아주 흡사하다. 그는 우리의 감각 기관들을 흩트려 놓음으로써 감각 세계에 향한 불신을 제기하게 하고, 이는 우리가 보고 있는 세계에 대한 전례 없던 의문을 유발케 한다. 작가가 개진하고 있는 이미지들은 거짓, 즉 환상이다. 모자이크 무늬의 옷을 입더라도 작가가 세상 속에 실재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으며, 아무리 풍경을 똑같이 재현한 이미지를 풍경들 사이에 끼워 넣더라도 그것이 이미지, 즉 거짓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이렇듯 이미지는 실재와 환상 사이를 가로지르며, 이 둘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결국 모호하게 만들어 버린다. 진실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거짓일 수도 있고, 거짓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때로는 진실이 될 수도 있다. 이미지란 이런 이중성의 표현이다.

Lee Hau Yi, “Present and Bloom”

Lee Hau Yi가 그녀의 작업에서 집중하는 부분은 ‘감정과 감각의 현현으로서의 예술’이다. 작가의 작품은 서정적인 이미지들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녀의 작품에서 어떤 강렬한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다. 이는 자칫 부조화를 이루는 것 같아 보이는, 이미지들 사이에 배치된 정치적 함의가 담겨진 문구들 때문일 것이다.

공통적으로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사태를 포함하여, 각 국가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은 동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어떠한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작가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들을 통해 우리에게 잠재되어 있는 공통된 감각을 길어 올린다. 작가는 우리가 공통된 감각을 표현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연대할 수 있다는 점을 믿고 있다. 우리는 표출함과 동시에 타인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이렇듯, 작가는 가장 순수하고 근본적인 예술의 소통 가능성과 이를 통한 연대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그녀의 작업들은 사회 현상을 시사하기도 하고, 작가 개인의 심리 상태를 표현하기도 한다. 서로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있더라도, 공통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연대와 화합의 가능성일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연결되어 있기에, 같은 수준의 위기 상황을 공유하고 있다. (…) 그것의 증인으로서의 나의 작품은 무엇보다도 희망의 힘으로 기능할 수 있기를 바란다.”

Haeseung Yun, “Point of View”

Haeseung Yun은 자신 고유의 감각, 자신의 삶, 자신의 감정,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것들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첫째로, 예술 언어를 통해 이것들이 전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여기서 그녀가 선택한 소재는 자신 주변의 사람들과 다양한 소품들이다. 그녀는 이를 통한 일련의 회화들이 이를 바라보는 누군가와 그녀를 연결해줄 수 있는 이음새 역할을 했으면 하는 뜻을 밝혔다. 이와 동시에, 그녀는 작업의 모델이 되는 누군가 (때로는 어떤 사물) 와도 연결되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이는 회화의 오랜 전통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생각하게 한다. 신체를 통해 직접 표출되는 페인팅은 훨씬 직관적이며 명증하게 표출되기에, 원초적이고 가장 순수한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작가는 회화가 가지고 있는 이런 예민한 특성을 최대한 이끌어 내어, 우리에게 가장 정제된 형태의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작가의 설치 방식에서 읽어낼 수 있는 부분이다. 작가는 각각의 작업에 아이뷰를 제각각 다르게 설정해 작품을 설치한다는 이야기를 전했는데, 이는 작품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함의들을 최대한 정확하고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작가의 태도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작가가 만들어 주는 이정표를 찬찬히 따라가면서 작품을 감상해 가는 과정, 그리고 이를 통해 작가의 가장 내밀한 감정을 찬찬히 유추해 가는 과정은 작가의 그림과의 대면을 더욱 소중하게 만들어 주는 것 같다.

화상 채팅 프로그램은 우리에게 국경이라는 특수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해 주고, 예술은 비언어성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감각에 호소함으로써 인종적 차이, 문화적 차이 등을 초월한 소통과 공감의 장을 마련해 준다. 본 행사에서 다양한 예술가들이 사용한 ‘예술’이라는 비언어적 매체는 전 세계인을 감정적 공감 아래 연결시키는 특수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들만의 다양한 예술 언어로 ‘소통’이라는 근본적인 가치를 표현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은 우리들의 의식 체계를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며,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데에 있어 새로운 기동력을 부여해주는 것 같기도 하다.

Art Teleported 2021, 코로나 시대 예술의 지형도를 살펴보다 – 이선주 [KR]

Art Teleported 2021 국제 컨퍼런스는 2021년 1월 23일부터 24일까지 CICA 미술관이 주최한 컨퍼런스이다. 2019년도부터 진행된 Art Teleported 프로젝트는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극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모든 것이 모바일화되고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문화에 대해 질문하며, 전 세계 예술가들과 예술 애호가들의 글로벌 네트워크망을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Art Teleported 2021 컨퍼런스는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미덕 아래에 ZOOM 화상 채팅으로 진행되었다.

본 컨퍼런스에 참여한 예술가와 학자들은 총 9명으로, 1월 23일과 24일 이틀 동안 두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Nobuko Tsuruta, Takemi Kitamura, Yuki Neo, Becky Beamer, Qiuwen Li, Maura McCreight가 참여하였고, 두 번째 세션에서는 Olivier Peyran, Kajin Kim, Jiaqi Li, Lee Hau Yi, Haeseung Yun이 참여하였다.

첫 번째 발표로 노부코 츠루타(Nobuko Tsuruta), 타케미 키타무라(Takemi Kitamura), 유키 네오(Yuki Neo)는 공동 프로젝트인 (2020)를 소개하였다. 는 사진가인 유키, 의상 디자이너인 노부코, 안무가인 타케미가 함께 참여한 공동 작품이다. 당시 협업이 어려운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위기는 오히려 이들로 하여금 함께 모여 무언가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간절하게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노부코, 타케미, 유키는 전염병에 대한 공포로 야기된 혼란스러운 사회 속에서 정신적 ‘정화’의 필요성 느꼈고, 이로 인해 가 제작되었다.

는 생사(row silk, 生絲)로 제작한 노부코의 의상과 노부코의 의상을 입은 타케미의 퍼포먼스, 그리고 이를 역동적으로 담아낸 유키의 사진으로 구성된다. 유키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타케미의 퍼포먼스와 정화의 과정을 포착하기 위해 다중 노출 기법을 사용하며, 노부코의 의상은 누에의 몸에서 만들어진 깨끗한 실로 ‘순수함’, ’정제’를 표현했다. 또한 퍼피티어(puppeteer)로 활동했던 타케미는 인형에 영혼을 불어넣어 주듯 자신의 에너지를 외부로 표출하여, 이를 관람객에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세상은 Covid-19라는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뿐만 아니라 차별과 혐오와 같은 여러 갈등으로 얼룩져 있으며, 노부코, 타케미, 유키의 작품을 통해 이와 같은 위기에 대응하여 예술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질문해 볼 수 있다.

마우라 맥크라이트(Maura McCreight)는 현재 뉴욕 CUNY 대학원의 박사후보생이며, Brooklyn College에서 미술사를 가르치고 있다. 본 컨퍼런스에서 그녀는 우르술라 비먼(Ursula Biemann)과 리디아 오우라만(Lydia Ourahmane)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순환과 예술적, 정치적 교류 네트워크를 이야기했다.

비먼과 오우라만은 작품을 통해 마그레브(Maghreb) 지역과 유럽 사이의 이주 통제 체계 시스템의 허점을 찌르며, 완전히 억제되거나 통제될 수 없는 유목민적인 미적 경험의 세계를 표현했다. 비먼은 솅겐협정(Schengen agreement)으로 얻은 유럽 내에서의 자유가 아프리카 내에서의 자유를 희생시켜 얻은 것임을 지적하고, 이를 토대로 (2006-2009)을 제작하였다. 은 사하라 이남에서 마그레브 지역으로 이동하는 다양한 방향들을 이야기하며, 현재 글로벌 지정학의 핵심인 이동성(mobility)과 봉쇄(containment)의 보이지 않은 정치적 탄압을 가시화한다.

비먼의 작품이 정치 및 역사와 결합된 지질학의 학제 간 논의를 다루듯 리디아 오우라만은 북아프리카의 땅과 사람들, 그리고 알제리 전쟁과 식민지 역사가 새겨진 길을 탐구한다. 리디아의 (2014)은 사운드 설치 작품으로 유럽으로 가는 동일한 여정을 지리적으로 모방한 관료적 이동 과정으로 구현함으로써 이주의 정치에 대한 감각을 전달한다.

오늘날 세계는 공항을 통해 연결되는 세계이자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세계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자유라는 이름 하에 지워진 내부 경계선은 또 다른 외부 경계선을 긋게 되었다. 비먼과 오우라만의 작품을 통해 국경선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또 ‘이동성(mobility)’을 통한 변화하는 세계화의 의미는 무엇인지 숙고해보게 한다.

베키 비머(Becky Beamer)는 다큐멘터리 영화제작자이자 북 아티스트로 활동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실험적인 작품을 제작해왔다. 코로나 발발 시기 이전, 비머는 지역 커뮤니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이들과 동화되어, 개인과 문화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한 작업들을 진행해 왔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시간을 집에서 보내고 있으며, 비머 역시 이와 같은 시기를 보내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생기게 되었다.

(2020)는 세상을 물질적인 측면에서 본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실과 같은 재료로 만든 액세서리를 일상 사물 위에 장식하는 일련의 임시 설치 프로젝트이다. 비머는 화장실 변기, 텔레비전, 정수기 등 삶에서 중요한 곳이라 생각되는 곳에 작품을 설치하였고 이러한 설치는 사진을 통해 기록되어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통해 유통된다. 해시태그로 인해 관객은 작품에 참여 할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 네트워크 사이에서 유영하는 노마드로서의 작품과 순례자로서의 관객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는 코로나19로 인해 갇혀있는 기간 동안 일상의 공간과 사물에 새로운 인격과 맥락을 형성하여, 평범한 일상 환경에서도 새로운 감상을 느낄 수 있는 예술 체험의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한다.

시각 디자인을 전공한 치웬 리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감정을 주제로 작품을 소개하였다. 그녀의 작품 중 (2020)은 대중 매체인 신문과 감정사이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언어 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신문에 잠재하는 감정의 톤을 감지한다. 그리고 발견된 감정의 톤은 다시 색으로 번역되었다.

의 출처인 뉴욕 타임즈는 2020년 매달 19일자에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억하기 위한 기사를 올린 바 있다. 작품을 통해 치웬 리는 중립적 태도로 정보를 전달해야하는 신문에서 나타난 감정이 정보의 진정성을 해치는 지 질문한다.

AI 과학자 올리비에 페이란(Olivier Peyran)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AI를 기술적 관점이 아닌 사회학적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AI를 둘러싼 종교적 편견과 맹신을 지적하였다. 그는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Emille Durkheim)의 말을 빌려 오늘날의 종교는 기술(technology)이 되었으며, “집합적 열광(collective effervescence)” 은 소셜미디어의 “유행화(trending)”의 형태를 갖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옳고 그름을 제시하는 종교의 역할은 소셜미디어에서 알고리즘이 대신하고 있음을 역설하였다.

올리비에 페이란은 지나 페이란 탄(Gina Peyran Tan)의 프로젝트를 위해 AI 로봇 dAIMON을 만들었다. dAIMON은 트윗의 멘션을 달아 사람들에게 작품을 소개하고 전달한다. 그는 dAIMON이 멘션 할 트윗을 어떻게 선택하고, 어떤 방식으로 답변하는지 설명하며 AI 알고리즘 기술의 약점을 드러냈다. 이를 통해 그는 초월적 능력을 기대했던 AI가 사실 기존 통계학적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진 기술임을 반증했다.

오늘날 AI 기술에 대해 여러 매스컴에서는 AI의 기술적 결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낙관적 시선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그의 파격적인 발표 주제였던 “God is dead, Long live AI”는 기술이 새로운 종교라는 개념에서 전지전능한(all-powerful) AI가 신의 역할을 할 미래를 상상한다. 그의 주장대로 인간이 만든 정보를 먹고 자란 AI가 과연 정당하고 올바른 기준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가에 대해 재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그의 발표는 AI 기술에 대해 좀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환기시켜 주었다.

작가 김가진은 트렌드나 대량 생산된 집단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사람들의 미신적, 소비주의적 욕망 사이에서 매개 물질로 작동하는 이미지를 포착한다. 본 컨퍼런스에서 그녀는 (2019)를 중심으로 ‘Image as a mediator’을 발표하였다.

작가의 작품 (2019)는 매개 물질로서의 이미지에 대한 그녀의 관심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마네키 네코(Maneki Neko)는 행운을 불러오는 고양이 상징물로 중식당과 일식당 어디에서든 흔하게 볼 수 있으며, 그 기원을 알기 힘든 지금은 인터넷상에서 의상부터 보석까지 다양한 2차적 생산물의 형태로 돌아다니고 있다. 그리고 작품 는 우리에게 행운과 안녕을 기원하는 미신적인 가상의 이미지가 상품화되거나 스크린을 경유해 여러 장소로 이동하는 여정을 보여준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마네키 네코의 역사적 기원과 더불어 마네키 네코와 같은 매력적인 이미지가 사람들 사이에서 어떤 매개로 작동하고 증식하는지 보여주며, 보는 이로 하여금 빠른 속도로 침투된 이미지에 대해 다각도로 감각하게 한다.

시각예술가 지아치 리(Jiaqi Li)는 일상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얻어 어디에나 편재하는 이미지의 속임수와 그러한 이미지가 가져다주는 유머를 통해 우리가 보는 현실(reality)을 질문한다. 그는 주로 무빙 이미지와 레디메이드를 활용하여 유토피아적인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모순을 드러낸다.

복제물들이 본질을 대신하고 실재보다 더 실재 같은 하이퍼리얼리티가 생산되는 현대사회에서 물건의 기능보다 기호를 소비하는 지금의 상황을 그는 (2020) 작품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프로젝트에서 TV는 주요 요소로, TV는 ‘성공’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시뮬레이션하고, 판매한다. 현실보다 더 그럴싸한 이미지로 포장된 가상의 세계에서 현실이 무엇인지 잊고 살진 않았는지 그의 작품을 통해 생각하게 되었다.

리 하우 이(Lee Hau Yi)는 홍콩 출신 예술가로, 그녀는 동시대의 살아있는 증인으로서 우리의 삶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현실을 발언한다. 그녀의 작품 중 (2019-2020) 시리즈와 (2020)은 홍콩 민주화운동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2020년은 홍콩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염병의 위기와 경찰의 만행 등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역사적 갈등들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었으며, 지금 우리 모두 비슷한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그녀의 작품은 홍콩의 민주화 역사만이 아닌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 명의 역사적 증언으로, 작품을 통해 우리의 현실을 발언한다.

미술사적으로 회화는 지진계와 같이 지면 아래에서부터 미세하고도 큰 변화를 감지하고 포착하여, 이를 표현해왔다. 전 세계적으로 오랜 기간 축적된 갈등이 갑작스럽게 방출된 지금의 위기에서 불안의 에너지를 그린 그녀의 작품은 다가올 새로운 시작에 대한 희망과 동시에 이러한 미래에 도달하기까지 우리의 현 위치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작가 윤해승은 주변 인물과 환경을 객관적이면서도 주관적인 시선으로 관찰하여 표현하고, 일상 속에서 느끼는 개인적인 감정들과 순간들을 기록한다. 그녀의 작품 (2020), (2020), (2020)은 실제 그림 대상의 크기와 유사하게 MDF로 제작되어 입간판의 형식으로 세워져 전시된다. 이처럼 배경이 제거된 작가의 회화 작품은 캔버스 밖으로 확장되어 개인의 순간과 기억이 타인과 맞물려 새로운 풍경을 창조해 낸다.

작가에 따르면 MDF로 제작한 회화 작품은 그리스 신화인 피그말리온 신화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피그말리온과 같이 작가는 실제 삶에서 원하는 것을 그림으로써 소유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의 귀여운 돼지를 키우고 싶었던 작가의 어릴 적 꿈을 그린 것으로 삶의 또 다른 이면을 조각한다.

그러나 현재 작가는 작품에 있어서 새로운 ‘point of view’를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웠던 과거나 꿈을 기록하던 이전의 작업에서 새로운 전환을 맞이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에 그녀는 구상적인 것과 초현실적인 것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작품 대상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새로운 작품에서는 어떤 친밀감과 낯섦이 발현될지 기대된다.

Art teleported 2021, 코로나 시대 예술의 지형도를 살펴보다

전 지구적 팬데믹 상황은 새로운 기준이라는 ‘뉴노멀’을 부상하게 하였고, 온라인 수업, 화상회의, VR 전시 등 가상현실과 원격 기술이라는 낯선 문화가 우리의 일상을 파고들었다. 그러나 중국을 시작으로 퍼진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는 질병의 개념을 넘어서 타인에 대한 혐오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끊긴 국가 간의 왕래를 다시 연결하고, 혐오와 차별에 반대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논의하는 자리가 필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Art Teleported 2021 국제 컨퍼런스는 여러 나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예술가들과 학자들이 모여 깊이 있는 토론을 논하는 자리이므로 시의에 맞는 중요한 자리일 것이다. Art teleported 2021에 참여한 많은 예술가들을 하나의 키워드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이들은 먼 타국에서 지금의 위기를 피부로 체험하며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다양한 예술적 실천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므로써 CICA 미술관의 Art teleported 2021은 미술계가 이러한 위기를 타계하기 위해 강구할 여러 해결책을 소개하며 코로나 시대 예술의 지형도를 살펴보았다.

이번 2021년도 CICA 미술관의 Art Teleported를 통해 다양한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들을 접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하고, 앞으로도 CICA 미술관이 동시대 미술 현장 가까이에서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여러 젊은 작가들의 생생한 작품들을 사람들에게 소개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