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Yoo YounBin Solo Exhibition

    April 28 – May 2, 2021
    2021년 4월 28일 – 5월 2일
    M Gallery, CICA Museum

    泳_Swimming & Wandering

    The world is always complicated, relative, and obscure.

    The expression of strength and weakness with Hanji (Korean paper) and ink, which I pursue, creates infinite forms on the canvas using the properties of Hanji’s fibroid quality on the side of form, and visibly presents obscure boundaries fo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Hanji and ink by re-covering the existing ink with Hanji. In particular, the fact that Hanji’s inherent color, the rust bleeding from wire netting, or added pigments form natural colors gives us a chance to say about various aspects of shape expression. In addition, owing to the properties of the technique that contains the process of making Hanji’s concavo-convex surface, we can even find out the meaning of an unfettered performance never ti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brush stroke from the action of ‘beating’ and the phenomenon of the overturn of the surface and ink.

    Such a repetitive action of beating and muddy images with incessant weaving and surrounding do not make shapes of the world or nature as it is, but are indeed variations of realization-intended expressions, which illustrate a certain inner state that one cannot talk about, that is, an ever-changing state that one cannot characterize by myself. This predicates the logic of the transition from the world of certainty to uncertainty, obscurity, vagueness, and abstractness.

    Thus, the fish wandering on the canvas has a dual attitude as if they are confined in some place or free.

    Fishes are dreaming outside of the water in the deep empty space and they can only explain about water at the out of the water. They can be everything.

    영(泳) & 소요(逍遙)

    이 세상은 언제나 복잡하고 상대적이며 모호하다.

    내가 추구하는 한지(韓紙)와 수묵(水墨)을 이용한 강약의 표현은 형태면에서 한지가 가진 섬유질의 특성을 활용하여 화면 속의 부정형(不定形)을 형성하고, 기존에 가해진 필묵을 한지로 다시 덮어서 두 매체의 관계에 의한 모호한 경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한지의 고유색이나 철망에서 베어 나오는 녹, 또는 첨가한 안료가 자연스러운 색채를 형성한다는 점은 우연이 필연으로 가는, 형상 표현의 다양한 양태를 이야기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준다. 또한 한지의 요철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담은 기법의 특성상, ‘두드리기’라는 행위와, 바탕과 필묵이 전복(顚覆)되는 현상 그 자체에서 필의 운용에 묶이지 않는 분방한 퍼포먼스(Performance)로서의 의미까지 찾아 볼 수 있겠다.

    이러한 두드리기라는 반복적 행위와 짜임과 싸임이 연속되는 혼탁한 이미지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나 자연을 형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 속의 말할 수 없는 경지를 그린, 곧 그 자신도 규명해 낼 수 없는 변화무쌍한 마음의 상태를 그린, 그야말로 사의적(寫意的)인 표현의 변용이라 하겠다. 이는 확실성의 세계에서 불확실성, 모호성, 애매성, 그리고 추상성으로 옮겨가는 논리를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화면 속에서 소요하는 물고기들은 어디엔가 갇혀있는 듯, 자유로운 듯 이중적인 태도이다.

    물고기들은 아무것도 없는 공허한 수중 공간 속에서 물 밖 세계를 꿈꾼다.

    그리고 그들은 물 밖에서만 물을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은 무엇이든 될 수 있다.

    I (Yoo YounBin) majored in Oriental painting at Hongik University(and Graduate School) and have been continuing my career as an artist in Seoul about 15 years. I held 9 solo exhibitions.

    The basis of my works germinated in my master’s thesis, 『A Study on the Painting of Looking for an Ox, 2001 (尋牛圖 硏究)』 and the framework of the theory and its techniques were strengthened in the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Wu-hua (Transformation of Things) based on the Flexibility of Han-ji, 2009』. I think that the art is the process of approaching enlightenment after finding one’s essential character, and artistic expression is possible when the artist has a sense of oneness with the subject, in a state of willing self-renunciation.

    Until now, my technique has been to apply brushwork, then uneven patchwork layers of netting-imprinted Hanji(Korean paper), subsequently retouch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wo-dimensional) planar composition of Korean paintings. And I also take on a reinterpretation of the spirit and strength of brushstroke and ink, which has always been the essence of Korean painting.

    Blog: https://blog.naver.com/ybinbin

    Homepage: www.ybinbin.com

    Facebook: https://www.facebook.com/yoonbin.you/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venusbinbin/

    나(유윤빈)는 홍익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약15년간 서울에서 작업을 이어왔다. 9번의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다.

    나의 작업의 사상적 바탕은 석사학위논문 『심우도 연구(尋牛圖 硏究)』에서 그 싹을 틔웠으며, 박사학위논문 『한지의 변통성(變通性)에 의한 물화적(物化的) 표현(表現) 연구(硏究)』에서 이론과 기법의 틀을 튼튼히 다졌다. 나는 예술이란 자신의 본성을 찾고 깨달음을 향해 가는 과정이며, 예술적 표현은 대상과 내가 합일되어 나를 잊는 몰아(沒我)의 자유로운 상태에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나는 한국화가 가지는 평면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망에서 떠낸 부정형의 한지 붙이기와 그리기, 덧칠하기를 한 화면에 통합해 왔다. 그리고 또한 한국화의 본질인 필묵(筆墨)에 내재된 정신과 힘의 재해석을 추구하고 있다.

    유윤빈, “영(泳)의 인상(印象)”(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