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Van Louii Solo Exhibition

    반루이 개인전

    M Gallery, CICA Museum
    October 29 – November 2, 2025
    2025.10.29 – 11.02

    Art Utility

    The question of the ambiguity of contemporary art’s common motto – “We are all artists” and “every moment is art” – serves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artist’s work. On the ground Marcel Duchamp reberverated, and the intense movement of Fluxus looked cool and intense but was eventually absorbed into the art world without going beyond his limits. And nothing has seemingly changed much in 2025. Instead of staying as an abstract slogan, the artist wants to make this motto a concretely practical human experience. And it is the form of art we will eventually face in the future. We will briefly review how this conclusion was drawn. The question that we face today would be “what does the expansion mean” if the post-Duchamp art question was “how far can art extend”? Even though attempts to break the boundaries between daily life and art were revolutionary for people in the mid-20th century, their movements were ultimately digested as playful elements for the commercial strategy of the modern capital market. In the 21st century,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the impact of social media have come to provide a huge ground where anyone can share their art and gain influence. Today’s art seems to have expanded from a high-end culture into a means of promoting limited-edition goods or premium concept collaborative products. As some say, are these phenomena just bad? Perhaps this phenomenon is like the twists and turns that can be encountered on the journey to the destination of “Everyday is art, everyone is an artist,” regardless of the likes and dislikes for the people? Because as a result, today’s art is, without a shadow of doubt, more open and accessible than ever.
    Then, what direction should art go in the future? The artist dreams of a future in which art goes beyond a culture centered on consumption and appreciation to a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actively produce art. It is perhaps a form of art we will face in the future that expressing and exploring oneself with images becomes as common as daily running or taking care of yourself with Pilates every morning. The rapid change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amplify people’s thirst for human identity and the fullness of life, which will soon be a catalyst for this change in art. To accelerate this movement, art creation should be easier and more people should be able to find meaning and reward for that. When that happens, true art will be able to go beyond the ‘tool of consumption and recognition’ to the next level. How can we do that? This exhibition is the result of the artist’s thoughts and experiments on that question. ‘Wouldn’t art be a highly functional activity for humans’ self-help?’ and ‘Wouldn’t the art of the future become a ‘functional tool’ to satisfy human’ realistic desires?’ Exhibitions were conceived and produced under this hypothesis. Unless you are a major or an art lover, creation requires more will and energy than consumption, but it is not impossible to implement. If we look around, we will find a lot of great tools to help us create. We live in an era where you can create the image you want in seconds with just a few sentences. Or we can learn how to draw on Youtube in your room. The approach of “art as a means of self-development” runs counter to the achievement of today’s art. The concept of art as a tool and a means can be dismissed as if the specter of the past, which modern art struggled to defeat, is reviving. Whether it is true or not, we have the freedom to imagine the utopia that such a world will bring. A society where you can immerse yourself in creative activities, feel the fullness of your lif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status through your own works, and have a sense of solidarity will be much cooler than in the present world. As Carl Gustav Jung said, art will no longer be an activity for artists, but an activity solely for human beings.
    작가 작업의 출발점은 현대미술이 흔히 내세우는 모토 ― “우리 모두가 아티스트다”, “일상이 곧 예술이다” ― 가 내포한 애매함에 대한 물음으로부터이다. 마르쉘 뒤샹이 단초를 제공하고 플럭서스라는 강렬했던 운동이 이 위대한 구호를 지향점으로 삼았지만 스스로가 가진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 채 결국 미술계에 흡수되어 버렸다. 그리고 2025년 오늘날 또한 그 때와 비교해서 많은 것이 변한 것 같지는 않다. 작가는 이 모토를 추상적 구호로 머물게 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실천 가능한 인간 경험으로 만들고자 한다. 그리고 그것이 곧 앞으로 우리가 마주할 예술의 형태라 믿는다. 이 결론을 어떻게 도출했는지에 대한 고찰을 간단히 전개해보고자 한다.뒤샹 이후의 미술이 던진 질문은 “예술은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였다면,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는 질문은 “그 확장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일 것이다.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시도는 20세기 중반의 사람들에게는 혁명적이었지만, 그 움직임들은 결론적으로 봤을 때 현대 자본 시장의 상업적 전략을 위한 유희적 요소로 소화되어 버린 부분이 크다.21세기에 들어 인터넷의 보급과 소셜미디어의 파급력은 누구나 자신의 예술을 공유하고 영향력을 획득 할 수 있는 거대한 판을 제공하는데 이르렀다. 오늘날의 미술은 특정 소수의 집단이 즐기는 고급문화에서 확장되어 인스타그램 피드 속 ‘좋아요’를 얻기 위한 콘텐츠나, 한정판 굿즈나 프리미엄 컨셉의 협업 제품으로 만들어져 대중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수단으로 변모한 듯 하다. 혹자가 말하듯 이런 현상들이 꼭 나쁘기만 한것일까? 어쩌면 이런 현상은 동시대 사람들의 호불호와는 상관없이 <일상이 곧 예술, 모두가 아티스트>라는 목적지에 가는 여정 중에 마주칠 수 있는 우여곡절 같은 것은 아닐까? 왜냐하면 결과적으로 봤을 때, 오늘날의 미술은 인류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개방적이고 접근성이 좋아졌다.
    그렇다면 앞으로 예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은 무엇일까? 작가는 예술이 소비와 감상 중심의 문화를 넘어 개개인이 활발하게 예술을 생산하는 문화의 단계로 나아가는 미래를 꿈꾼다. 이미지로 자기를 표현하고 탐구하는 일이 마치 매일 아침 러닝을 하고 필라테스로 몸을 가꾸는 것 만큼 흔한 일이 되는 것이 어쩌면 앞으로 우리가 마주할 예술의 형태일 것이다. 인공지능이 만들어내는 급격한 변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인간의 정체성과 삶의 충만함에 대한 갈증을 증폭하게 할 것이고, 그것은 곧 이 예술의 변화에 기폭제가 될 것이다.만약 그렇다면 예술창작은 더 쉬워져야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술창작에서 의미와 보람을 찾을 수 있어야한다. 그렇게 될 때, 진정 예술은 ‘소비와 인정의 도구’를 넘어 그 다음단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이번 전시는 그 질문에 대한 작가의 고민과 실험의 결과물이다. ‘예술은 인간들의 자기 개발을 위한 다분히 기능적인 활동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미래의 예술은 인간의 현실적인 욕망을 충족시키는 ‘기능적인 도구’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하나의 가설에서 전시작품들은 구상되고 제작되었다. 전공자나 미술 애호가가 아닌 이상 창작은 소비보다 더 큰 의지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만 그렇다고 실행하기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창작을 도와주는 훌륭한 도구들이 즐비하다. 클릭 몇번만 하면 그림을 어떻게 그리는지에 대한 훌륭한 콘텐츠가 넘처나고 심지어 단지 몇문장 입력하는 것 만으로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몇 초만에 만들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자기계발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미술’이라는 접근은 현시대의 미술 통념에 역행한다. 도구이며 수단으로서의 미술이라는 개념은 근대미술이 힘겹게 물리쳤던 과거의 망령이 부활하는 것처럼 치부될 수도 있다. 그게 사실이든 아니던 우리에게는 그런 세상이 불러올 유토피아를 상상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 창작 활동에 몰입하며 삶의 온전한 충만감을 느끼고, 자기 작품으로 국적과 지위를 막론하고 서로 소통하며 연대감을 가질 수 있는 사회는 지금의 세계보다는 훨씬 더 멋질 것이다. 칼 구스타프 융 (Carl Gustav Jung)의 말처럼 예술은 더이상 예술가를 위한 활동이 아닌 온전히 인간을 위한 활동이 될 것이다.

    Starting from sarcastic art works for the contemporary art scene, turned out to seriously explore his own art world ever since being selected as one of the leading Korean art fair artist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Continuous and active work under the theme of “The Art of the Future to Come” has begun to attract the attention of various galleries and organizations. Selected on the list of nine notable artists by the K-Art Fair, invited to various group exhibitions and art fairs in Korea and obtained the opportunity to display them. From 2023, focusing on solo art shows, drawing favorable responses from art lovers and institutions.
    미술계를 풍자하고 싶은 장난기로 미술 활동을 시작했지만 3년 연속 국내 유수 페어 참여작가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진지하게 예술세계를 탐구하기 시작. ‘다가올 미래의 예술의 모습’라는 주제로 한 꾸준하고 활발한 작업들이 여러 갤러리와 단체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 K-아트페어에서 선정한 주목해야 할 9명의 작가 리스트에 선정되고 국내 다양한 단체전과 전시에 초대되어 전시할 기회를 얻음. 2023년부터는 본격적으로 개인전을 통한 전시에 집중하며 미술애호가들과 기관의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