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ooJin Kim Solo Exhibition

    July 1 – 5, 2020
    2020년 7월 1일 – 5일
    M Gallery, CICA Museum

    Playground

    본인의 작품은 조감법(鳥瞰法)으로 바라본 도시를 소재로 삼은 회화 작품의 조형성과 의미에 대한 것이다. 도시의 조감도를 사용한 회화는 회화의 소재로 도시를 채택하되 시점을 높게 잡아 도시의 다양한 모습을 하나의 화면에 담을 수 있는 회화이다. 본 논문은 먼저 미술사의 사실주의(realism)와 한국화의 부감법(俯瞰法)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된다. 작품의 내용과 의미에 있어서는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 1821~1867)가 만들어낸 개념인 18세기 산업 혁명으로 인한 배회자 플라뇌르(Flaneur)와 그러한 플라뇌르를 관찰하는 자, 문학가 오노레 드 발자크(Honore de Balzac, 1799~1850)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찰과 보는 행위가 미술사 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본인의 작품은 형식적으로 20세기 미국의 사실주의 영향과 당시 활동했던 화가 웨인 티보(wayne Thiebaud, 1920~)의 영향을 받아, 풍경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는 서울이라는 도시를 소재로 삼고 있다. 화폭 내에서 서울의 면면은 정확히 드러난다. 특히 본인의 작품 소재는 서울의 중심, 서울의 랜드마크나 사람들이 많이 알아볼 수 있는 기념탑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그러한 곳이 도시의 모습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장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고 관람자에게 익숙한 느낌을 주며 편안하게 도시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조감도의 원근법을 사용하였고 파란색의 보색인 노란색, 주황색의 조화로운 대비를 통해 작품의 색채 대비를 안정적으로 만들려 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의 작품은 모두 하얀 바탕이 아닌 회색 젯소가 발라진 캔버스를 사용함으로써 어두운 분위기의 통일성을 연출하였다.
    이렇게 본인의 작품은 도시라는 특정 공간을 포함한 세상의 모습을 담고 있다. 또한 도시라는 공간은 단지 웅장하게 서 있거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본인은 그것의 유기체적인 모습을 발견하였고 이를 본인의 작품인 <squad>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회화 작품을 통해 도시 조감도가 도시민들의 삶을 표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과정을 통한 작품의 조형적 변화를 모색하는 계기를 찾고 있다.

    This study is on formativeness and meaning of painting works whose material is a city looked through bird’s eye view. Paintings of urban aerial view are works that utilize a city as its subject matter but can express various aspects of a city on a single screen from a high perspective. This thesis starts with realism in art history and restructured bird’s eye view in Korean painting. As to works’ contents and meanings, it discusses the notion of roamer (flaneur) raised by Walter Benjamin (1892~1940) and Charles Baudelaire (1821~1867) which was generated due to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8th century and an observer of such flaneur, a writer Honore de Balzac (1799~1850). The study analyzes significance of an act to observe and see in art history.
    Formally influenced by American realism in the 20th century and a painter Wayne Thiebaud (1920~) who played an active role back then, the author’s works started from exploration of landscape. Author’s works are with a city of Seoul as subject matter. Every aspect of Seoul is exactly expressed on canvas. Author’s works particularly include the center of Seoul, Seoul’s landmarks or monuments that people can easily recognize and it is because I, the author, supposed those places would well present the city and would be familiar to viewers and tried to enable them to observe the city at ease. To that end, I adopted perspective of aerial view and stabilized color contrasts in harmony on my works with blue and its complementary colors of yellow and orange. Using canvas on which gray gesso was applied, instead of plain white one, my works also create dark atmosphere overall.
    My works, as demonstrated above, are to express the world including particular space of city. In addition, the space of city only seems magnificently standing there or rather motionless but I discovered its organic aspects and attempted to express them on my work squad.
    This study is to discuss viewpoints, colors and structures that painting work can realize which adopts aerial view on city as its subject matter. In addition, my works exhibit undistorted aspects of city, which facilitates understanding ecology of urban space. City environment is important as it is densely populated and should consequently be observed accurately. My works also have significance that they record the present of city images changing over continuous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 aim to examine whether aerial view on city through painting works can be a means to express city people and seek for opportunities to make formative changes on works through those procedures.

    대학교에서 인문과 법을 공부하고, 대학원에서 예술과 미술을 공부했다. 우리가 사는 공간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도시의 모습을 담은 작품을 제작했고 앞으로 이 미시적인 세계를 어떻게 시각적 결과물로 도출해낼 수 있을지 연구하려 한다.

    I studied humanities and law at university, Art and painting at graduate school. With a deep interest in the space we live in, I’ve created a piece of city. Now I’m studying how I can bring out this microscopic world as a visual outcome.

    김수진, “광장”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