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yungsub Suh Solo Exhibition

    Moon Uzu (서명섭) Solo Exhibition
    M Gallery, CICA Museum
    February 19 – 23, 2025
    2025.2.19 – 2.23

    Archetype 아키타입

    우리는 사물과 관계를 맺을 때, 그것을 이해하고 규정하기 위해 형태를 인식한다. 원은 원으로, 사각형은 사각형으로, 사람은 사람으로. 그러나 형태는 고정된 것이 아니다. 동일한 도형이라도 맥락과 시각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예상치 못한 요소들과 결합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다. 이 전시는 그러한 형태의 가능성과 유동성을 탐구하며, 우리가 관계를 맺는 방식과 환대의 개념을 다시 바라보도록 유도한다. 우리가 마주하는 모든 대상은 특정한 역할이나 의미를 부여받는다.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연인은 연인으로, 친구는 친구로, 동료는 동료로 존재한다. 우리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사회적, 심리적 기준 속에서 상대를 분류하고 정의한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목적성을 지우고, 단순히 형태 그 자체로 마주한다면 어떨까? 이 전시는 형태를 통해 그러한 가능성을 실험한다. 원이라는 도형은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지만, 경계를 흐리는 과정에서 무한한 변주를 만들어낸다. 때로는 의도적으로 변형되고, 때로는 우연한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간다. 전시에 포함된 작품들은 반복적인 형태 속에서도 끊임없이 달라지는 변화를 보여준다. 기하학적 형태를 탐구하는 작업은 단순한 구조 안에서 얼마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지를 보여주며, 우리가 규정짓는 모든 것이 사실은 유동적이라는 점을 상기시킨다. 한편, 무작위적이고 즉흥적인 드로잉은 의도되지 않은 흐름 속에서도 하나의 형태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디지털 작업에서는 이미지의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형태의 본질이 흐려지면서도, 역설적으로 더욱 많은 해석의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형태는 정보와 결합하며 사회적 맥락을 갖기도 하고, 반대로 그 맥락이 사라지는 순간 완전히 새로운 형태로 읽히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과 그것을 이해하는 틀에 대해 다시 한번 질문을 던진다. 형태는 더 이상 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 전시는 형태와 그 변주의 가능성을 통해, 인식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는 자리이다.

    내 정체성을 탐구하는 과정은 인간 심리와 사회적 맥락의 복잡성을 깊이 탐구하는 여정이다. 나 자신에 대한 이해는 내 주변 사람들의 시각, 가까운 이들과는 물론 잘 알지 못하는 이들의 통찰을 통해 조각조각 형성된다. 각각은 다양한 역할 기대를 반영하며, 이 다양성은 정체성을 단일하게 정의할 수 없는 역설을 초래한다. 나 자신에 대한 대화가 깊어질수록, 자아의 정의는 더욱 깊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내 실천에서 이 모순은 해체와 반복을 통해 드러난다.이것은 자아의 의심과 그것이 끊임없이 가져오는 질문의 과정이다. 나 자신에 대한 대화가 깊어질수록, 타인의 시선을 통해 나를 이해하는 과정은 더욱 명확해진다. 타인의 기대와 관계를 통해 나의 존재는 더욱 뚜렷하고 독특해진다. 이 인식의 과정은 기하학적으로 표현되며, 상호작용을 통해 공감할 수 있는 근본적인 형태로의 회귀를 상징한다. 개인적 이야기의 서술 속에는 사회적, 문화적 맥락이 반영된다. 나는 내 주변 환경 안에서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재자 역할을 하며, 내 정체성이 경험, 감정, 사회 구조의 복잡한 이해와 얽혀 있음을 인식한다. 나는 현재의 나와 사회적, 문화적 배경 사이의 연결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타인의 시각과 상호작용은 내 정체성의 복잡성을 명확히 하고, 내 주변 환경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Exploring my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others is a profound journey into the complexities of human psychology and social contexts. The comprehension of myself is shaped by the perspectives of those around me, including insights from closed ones and even strangers who may not know me well, each reflecting diverse role expectations. This diversity results in a paradox where identity cannot be singularly defined due to various representations and role expectations. As the dialogue about myself deepens, defining the self becomes more challenging. In my practice, this contradiction is expressed through deconstruction and repetition—a representation of self-doubt and the incessant questioning it brings. As conversations about myself intensify, the understanding of me from others becomes clearer. Through the expectations and relationships of others, my own being becomes more concrete and distinct. This cognitive process is depicted geometrically, symbolising a return to a fundamental form that resonates with others through interaction. In the narrative of personal stories lies the reflection of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s. I act as a mediator to comprehend complex relationships within my surroundings, acknowledging that my identity is intricately woven into the experiences, emotions, and intricate understandings of societal structures. I seek to explore the points of connection between my present self and the societal and cultural landscape. In this process, the perspectiv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illuminate the intricate nature of my identity, enriching my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within my immediat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