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im Yul Solo Exhibition

    김율 개인전

    3-A Gallery, CICA Museum

    September 28 – October 2, 2022

    2022.09.28 – 10.02

    PARADOX

    유영하는 감각 속 조형의 언어
    Sculptural Language in the roaming Senses

    k.yul 작가의 <paradox> 속에는 무수한 시선들이 공존한다. 저마다의 시선은 습기 가득한 안개 속을 유영하기도, 서로 충돌해 파괴되기도 한다. 가벼운 듯 거친 그의 선율은 하나의 생명이 되어 마치 스스로 자라나 듯 춤을 추며 요동친다. 그는 의식의 경계에 멈춰 과감히 호흡한다. 들숨과 날숨 간 찰나의 줄다리기에서 새어나온 거친 태동은, 무질서 속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일렁이듯 보이는 푸른 덩어리 중 어떤 것은 촘촘히 짜여 진 섬유가닥 사이를 뚫고 솟아나 스스로 맺힌 것처럼 보인다. k.yul의 회화는 의미와 무의미의 긴장 속에서 실존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Paradox” by k.yul contains numerous perspectives, each of which roam in the humid fog, and sometimes destroy themselves in collision. The artist’s melody, light yet rough, becomes a life form in itself and grows independently while dancing and vibrating. She is suspended at the borders of consciousness and breathes audaciously. The rough fetal movement generated from the fleeting tug-of-war between inspiration and expiration exhibits rhythm in disorder. Among flowing blue lumps, some look as if they pierced through closely woven fabric threads to create their own form. k.yul’s paintings pose questions about existence in the tension between meaning and non-meaning.

    인간의 자아는 목적에 따라 예기된 시간을 영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연속적인 지표를 향해 끊임없이 항해하는 선박과 같은 것이다. 하이데거는 인간의 시간성을 기계적 시간성과 시원적 시간성으로 구분했다. 이는 인간 존재가 존재의 의미를 망각하고 일상에 빠져있는 기계적 시간에서 벗어나 죽음에 대한 가능성을 선험하기 위한 일종의 장치이다. 본래적 시간성, 즉 시원적 시간성은 인간이 존재의 이유를 깨닫고 궁극의 목표를 향한 질서를 지향하도록 만든다. 인간 존재는 각자의 고유한 죽음을 인지하고 삶을 결단함으로써 실존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The human identity is designed to occupy and roam through time predicted and foreseen from their objectives. It is like a vessel that sails endlessly towards a continuous target. Heidegger categorized the human temporality into mechanic temporality and primordial temporality. This is a type of tool designed to bring the human existence out of mechanic temporality: the state of oblivion concerning the meaning of existence, submerged in the daily routine. The ultimate goal is to transcend the possibility of death. Primitive temporality, that is, primordial temporality seeks to guide people towards realizing their reason for existence and seek an order towards the ultimate objective. The human identity works to find the meaning of existence by ultimately deciding life after acknowledging their inherent and distinct death.

    작가는 그러한 실존의 의미를 작업방식을 비롯해 일상에 빗대었다. 찌개를 끓인다- 는 관념을 실천하기 위해 수식시켜야 하는 관계들로부터 최종적으로 찌개를 실재하도록 만드는 순간까지 어느 하나 우연인 것은 없다. 캔버스 표면을 떠도는 유기체들은 그의 일상과도 같다. 언뜻 보면 분간할 수 없는 형체 같아 보이지만, 저마다 있어야 할 곳에 균형 잡으며 끈덕지게 어우러져 있다. 모여진 유기체들은 작가 과거의 시선이자 감성의 군집이라 할 수 있다. 작가의 자아로서 생명력을 지녔던 그의 감성(일상)이 그의 손끝으로부터 해방되는 순간, 그것은 이미 ‘있었던 것’(유기체)이 되고 그의 의식의 흐름으로부터 독립된다. 일상 속에서 그를 실존시켰던 의식의 흐름은 이젠 다른 ‘것’이자 과거로써, 현존하는 감성을 직시하게 만들고 다시 탄생될 새로운 지표와 조우시킨다.

    The artist alludes to daily life with the aforementioned meaning of existence, along with her methods of work. From relationships that must be signified in order to practice the concept of “boiling soup” to the moment in which the soup is made to exist in the real world, no step in the process is coincidental. The organic bodies that roam the surface of the canvas are like her daily routine. Initially, they look as if to be shapes that cannot be distinguished, but each of them are in appropriate places, harmonizing closely in a balanced manner. The congregation of organic bodies represent the past perspectives of the artist, as well as a collection of her emotions. At the moment when the artist’s emotion (daily routine), which obtained life as the identity of the artist, is released from the tip of her fingers, it becomes what “has existed” (organic body) and gains independence from her stream of consciousness.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hat enabled the artist’s existence in daily routine now forces her art to confront emotions that are now “something different” and exist in the present as the past, in addition to encountering new indexes that will be generated.

    k.yul의 감성은 다시 물감이 되어, 찌개가 되어, 일상이 되어 생활의 형태를 이룬다. 이렇듯 작가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순환 속에서 축적되는 ‘있음과 있었음’의 나선을 통해 그 만의 세계를 형상화 시킨다. 순환과 통찰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의 손놀림은 재빨라지고, 유기체는 점멸하듯 탈바꿈된다. 그의 내면에 자리 잡은 무수한 시선과 감성은 점차적으로 제각기 춤을 추며 캔버스로 옮겨진다. k.yul 고유의 푸른 언어로 재현된 작품 속 자신들은 여전히 캔버스 위를 유영하며 서로를 맴돌고 있다.

    k.yul’s emotions and sensibility once again becomes paint, it becomes soup, it becomes daily routine and ultimately forms a way of living; a lifestyle. As such, the artist embodies her unique world through the helix of “existing and having existed” which accumulates in the cycle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longer the cycle and insight endures, the faster her brushstrokes become, and in lieu, the organic bodies blink as they constantly change form. The numerous perspectives and emotions in her inner self gradually dance in individual forms as they settle onto the canvas. The identity in her art, re-created by the unique and blue language of k.yul, swim around each other as they roam around the canvas.

    글- 산일(뮤지션)
    Written by Sanil (music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