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ISVC 2022 Reviews

CICA Museum

March 16 – April 3, 2022 Exhibition “Visual Culture 2022” at the CICA Museum, Korea

March 26-27, 2022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2022

Justin Hui, Minyoung Kang(강민영), Eli Kessler, Minu Kim (김민우), Joella Kiu, Eric T. Kunsman, Wenwen Liu, Alex Manea, Maria Petroff, Miki SASAKI, Jinsik Shin (신진식), Rio Ahn ( 안리오), Kyle Yip, Junghye Yun (윤정혜)

2022 CICA ISVC: 시각 문화와 관계에 대한 고찰

김소은

CICA 미술관 주관 2022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이 3월 26일, 27일 개최되었다.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ISVC)은 시각 문화에 대한 다양한 비평적 담론이 오가는 국제 플랫폼이다. 아티스트와 시각 문화 연구가, 시각 문화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글로벌 네트워크로서 여러 국가의 예술가와 연구가들이 참여하였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Zoom Meeting으로 진행되었다. 2022년도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에서는 예술과 개인, 사회를 잇는 관계에 대한 이해를 담았다. 시각 문화를 포함한 예술과 자본주의, 환경문제 등 사회 관계와 더불어 예술가 각자의 경험과 예술로 표현된 작품들을 소개하는 예술과 개인과의 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더 나아가, 시각 문화를 매개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가 어떻게 미래를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을 하게 했다. 26일에는 8명(Eli Kessler; Eric T. Kunsman; Kyle Yip; Wenwen Liu; Joella Kiu; Maria Petroff; Rio Ahn; Miki SASAKI), 27일에는 3명(Justin Hui; Minyoung Kang; Minu Kim)의 발표자가 시각문화를 바라보는 작품 활동을 소개했다. ‘관계’라는 범주 아래 발표자 각각의 내용을 정리하며 심포지엄을 돌아보려 한다.

26일은 한국시간 오전 8시 30분에 Opening Reception으로 막을 열었다. 이후 세션 1은 한국시간 오전 9시 40분부터 오후 1시까지 Eli Kessler, Eric T. Kunsman, Kyle Yip, Wenwen Liu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Eli Kessler는 “Apparatus and Uncertainty”를 주제로 자신의 조각 시리즈를 소개했다. 조각 3개는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진행되며 모두 땅에서 높아지는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은 기술적인 면을, 는 1980년도 팝 음악의 뮤직비디오를, 은 시간 속의 인간 자아를 보여준다. 더하여 작품을 소개하며 발표를 마쳤다. 이어진 질의 시간에는 작품을 시리즈화 한 것은 작품 간의 관계를 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라고 이야기 했으며 육각형 모양 작품 사이 나비를 배치한 것은 환경과 시각문화, 이후의 세대에게 전하는 메시지라고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두 번째 발표자 Eric Kunsman은 “Felicific Calculus: Technology as a Social Marker of Race, Class, & Economics in Rochester, NY”에 대해 이야기 했다. Rochester 지역의 공중전화 사진을 담은 작품은 ZIP CODE 데이터를 이용했다. 왜 Rochester에서 공중전화가 필수적인지, 그 사회의 소통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지역 사회에 밀착하여 사회와 시각문화의 관계를 담아냈다. 전 과정은 작가의 유튜브 채널에서 다큐멘터리로 볼 수 있다. 이어진 발표에서 Kyle Yip은 “Renaissance Show”를 주제로 시리즈를 소개했다. ‘꿈’을 꾸는 주체인 작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각문화와의 관계를 보여준다. 작가 개인의 취향이 들어간 패션 아이콘의 등장과 다양한 색채의 사용은 개인적 경험과 시각 문화를 잇는다. 작가 개인이 경험한 문화, 심리적 현상이라는 개인적인 영감으로 작품을 만들어냈다. 세션 1의 마지막 발표자 Wenweun Liu는 “How art as a vehicle for ideas-based ideologies, can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help people explore a speculative and sustainable future”를 주제로 생각을 나누었다. 발표자는 예술로 기후 변화의 문제를 해석했다. 특히 자연과 인류의 관계를 시각 문화로 풀어냈다. 단적으로, ‘The Kubuqi Desert Green project’을 소개하며 인류의 긍정적인 영향이 필요하다고 하며 자연과 인간의 상호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게 했다. 는 작가의 기후 문제와 인간 상호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준 작품이었다.

이후 세션 2에서는 오후 2시부터 5시 5분까지 Joella Kiu, Maria Petroff, Rio Ahn, Miki SASAKI의 발표가 이어졌다. Joella Kiu는 “Carrying Fire: Artist-Collectives as Praxis and Response to Ecological Emergencies”를 주제로 발표했다. 여러 작품을 통해 예술가와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했다. 다이어그램을 통해 중앙집권적 유통을 보여주기도 했다. Maria Petroff는 “Art and the Decline of Capitalism: Artist as a storyteller”를 주제로 예술과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공유했다. 자본을 좇는 예술가에 대해 재고해 볼 기회를 주었으며 이야기 전달자, 보다 작품을 내재적으로 해석하고 생산할 예술가의 필요성을 이야기했다. 질의 시간에는 어떻게 예술가가 자본주의에서부터 자유로울지 대화하는 시간이 되었다. Rio Ahn은 “Healing That Comes from Colors and Flows”를 주제로 자신의 작품을 소개했다. 작가는 색채에 힘이 있다고 믿고 감정을 색채로 드러냈다. 각각의 작품은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날아다니는 물고기는 생각과 상상이라고 통칭했다. 또한 생각이 생각을 불러 일으킨다는 점에 착안하여 생각은 개인의 관계가 되고, 그것은 곧 사람간의 관계가 된다는 것을 작품으로 구현해냈다. 마지막으로 Miki SASAKI는 시인과 예술가로서 “Rethinking the versification of Visual Poetry Though the practice of ‘Plastic Word Dictionary’” 주제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시각적인 시’에 대한 발표를 하며, 시라는 문학과 시각 문화를 연결하는 를 소개했다.

다음날인 27일, 한국시간 오전 9시에 세션이 시작되었다. Justin Hui는 “Decoding Visual Structures in Photography”를 주제로 발표했다. 작가는 새로운 디지털 시각적 형태에 주목했다. 사람간의 소통이 전 보다 더욱 시각적으로 변했다고 이야기하며 시각 자료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Minyoung Kang(강민영)는 “Beyond the Human”을 주제로 이야기를 이어갔다. 강민영 작가는 예술을 개인과 자연에 연결한 작품을 소개했다. 영상 작업을 통해 인간 내면의 명상적 독백을 자연 이미지와 표현하였다. 명상을 주제로 한 작품은 명상을 하나의 예술적 카테고리로 만들어 개인이 얻는 새로운 경험을 시각적 자료로 활용했다고 한다. 또한 영상과 텍스트를 병치하는 시도는 기법적으로 ‘사람’이라는 주체와 연결된다. 10분 간의 휴식 뒤, 마지막 발표자 Minu Kim(김민우)의 발표가 이어졌다. “목격된 징후들 : 환경과 내러티브 / Witnessed Symptoms : Environment and Narrative”를 주제로 하여 자신의 작품인 , , 시리즈를 소개했다. 작가는 목격과 장면을 일차적으로 하나의 이야기로 재구성하여 풍경과 대상을 스스로가 우연한 목격자로 생각하게 하며 대상을 응시하고 관찰한다. 모든 시리즈는 모티브에서 페인팅으로 바꾸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작가의 사회적, 정치적 의도를 배제한 작품에서 자연과 개인, 그리고 철거라는 자연의 변화로 하여금 이어진 사회적 문제는 개인과 사회, 자연의 관계를 거쳐 시각 문화를 가진 작품으로 탄생한다.

이틀 간 진행된 세션은 앞으로의 시각 문화 활동에 대한 응원과 인사로 끝맺음 되었다. 시각 문화에 대한 발표자 각자의 견해에 더해진 질의응답 시간은 발표자 개인의 시각 문화에 대한 지향점뿐만 아니라, 앞으로 어떤 사회를 만들어나가야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기회가 되었다. 시각 문화를 향유하는 다양한 국가의 예술가와 연구가들의 활발한 소통으로 성황리에 마무리 된 2022 CICA ISVC는, 시각 문화와 개인, 사회, 자연, 예술이 가진 관계에 대해 깊은 사유를 건네고 있다. 앞으로도 CICA 미술관에서 주관하는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은 시각 문화를 제작하고 소비하는 모두를 위해 나아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