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h 10 – 28, 2021 Exhibition “Visual Culture 2021” at CICA Museum, Korea
March 27 – 28, 2021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2021
We invite artists, scholars, and researchers worldwide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2021. The community of artists, researchers and academics meets in th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participates in the exhibition at the CICA Museum. The symposium will be held both onsite and virtually due to global uncertainty.
ISVC is an international platform for diverse and critical perspectives on visual culture. Through ISVC, we aim to create a global network of researchers/artists and consumers/makers of visual culture, and foster critical thoughts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on a global scale.
국제 시각문화 심포지엄 2021
2021년 3월 CICA 미술관 주최 국제 시각문화 심포지엄 2021에 전세계 아티스트, 학자, 미술 애호가들을 초청합니다. 심포지엄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요하는 국제 상황을 고려하여 CICA 미술관과 온라인을 병행하여 개최되며, 국제전은 CICA 미술관에서 열립니다.
ISVC는 시각 문화에 대한 다양하고 비평적인 시각을 공유하는 국제 플랫폼입니다. ISVC를 통해 아티스트와 연구가, 시각 문화 생산자와 소비자들을 잇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시각 문화에 대한 거시적이며 심도 있는 이해와 주체적, 비판적 시각 함양과 향유를 위한 장이 되고 자 합니다.
ISVC 2021: Innovation and Inspiration from Around the World
by Jeremy Husserl
<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ISVC), hosted by the CICA Museum, was a unique event, not only because it was virtual due to COVID-19 but also for all the intriguing ideas shared during the program. The two days were an incredibly immersive experience that opened the mind to these new ideas and introduced innovative concepts, methods, and responses to aspects of the human experience to creatives worldwide. No matter the specific subject matter, each presenter touched on various topics that make one reflect on the current state of visual expression and how different aspects of modern society impact and are influenced by visual art. The first day’s presentations provided various topics relating to the intersection of educational analysis, research, and art pieces and created a larger picture of how society responds to and examines superficial and capitalistic elements.Pearlie Rose S. Baluyut’s analysis of LACMA’s René Magritte exhibition “Magritte and Contemporary Art: The Treachery of Images” curated by Stephanie Barren with installations designed by John Baldessari, shows the paradoxical and disingenuous nature of the event. She compares the exhibit’s various aspects and how it contradicts Magritte’s stylistic choices, personal history, and values. Baluyut’s delivery of the presentation was artistic and surrealist, often opening concepts or concluding them in a way that evokes the artist’s works. An excellent example of this was the slide that stated, “This is not Magritte but a PowerPoint slide of a photograph of Magritte.” It was often used to show the disconnect between the intent of the exhibit and the reality of its creation and impact. Baluyut mentions the strange compare and contrast-like nature of the show, often having Magritte’s work paired with that of a modern artist. It almost takes away the interpretive nature of his pieces and creates a more straightforward and structured thought process. One of the more shocking portions of the presentation was about the exploitation of Phillipino security guards and how they were used as performers and promoters of the show without any additional compensation outside of keeping the costumes they were required to wear. This was an act that ironically contradicts Magritte’s humble origins and simultaneously creates a classist structure to the entire exhibit. The concept of spectacle is often used as a commodity or way to sell a product to a consumer, but I wasn’t aware that art could be the attracting factor to whatever is being sold. Louise Liwanag’s presentation, “Graffiti for Growth: Street Art and Singapore’s Economy of Spectacle,” shows how art can be purely commodified to sell other large-scale events in Singapore. Similar to Baluyut’s presentation, there is a paradoxical nature to Liwanag’s findings. The presentation brought attention to many conflicting actions surrounding street art and the government. Buildings are cleaned every day, literally erasing street art’s impact on the urban community even though the government provides resources to those very same street artists whose work they are erasing. For example, the government allows buildings that are scheduled for demolition as practice space. Singapore Art Week 2018 is an excellent example of this commodification. The art collective Rascals (Stylized RSCLS), who were behind multiple erased pieces, recreated these pieces in the form of a detailed miniaturized environment that resembles the original work. The piece was part of a larger installation that mimics the anxiety a street artist feels under surveillance, which is interesting considering Singapore is somewhat authoritative. It leaves one wondering how far the concept of art as a commodity with a capitalistic focus will go and how it impacts the individual artist’s work.
Santiago Robles’s work is directly impacted by commodification as a way to show the encroachment of a capitalistic society and all of the negative aspects that come with it. His presentation, appropriately titled “We all Cook. We all Eat,” is more of a showcasing of his various works that explore community, tradition, and the aforementioned impact of economic focus on society. Starbuckstlan is a recreation of a traditional codex that oddly feels incredibly narrative, potentially due to the work’s sheer size. In almost every section, there are images of American iconography on a piece that is primarily produced using traditional methods. I immediately think of the negative aspects of capitalistic culture when looking at the work. The American imagery has a feeling of forcefulness that demonstrates brands overtaking tradition. It’s a clash that makes the viewer think about how different cultures can connect or separate from one another. The most exciting pieces, however, were “All the Way and Colonialism Extra.” The artworks are physical representations of consumerism’s dangers as the genetically modified corn used to create the images eventually consume themselves due to insects’ interference. This idolization of corporate imagery in America can be directly translated to other strange aspects of the culture, like a similar idolization for the past.
Patrick Scorese and Zach Trebino went in an entirely different direction. Rather than do a traditional presentation of their work or a research subject, they did a performance art piece over Zoom. Toxic Nostalgia was a disorienting experience to its benefit, focusing on the concepts of being a white male in the 21st century and a deconstruction of harmful values and the obsession with the past exhibited in the United States. The video’s static and buffering is incredibly convincing since, at points, I thought my computer was actually having issues. At the start, Patrick fades into various images of factory workers and garbage trucks in motion. Accompanying this is a narration focusing on the word “me” with every sentence focused on the self and the personal future of the speaker. The visual and these narrations show a darker side which seems like a toxic romanticization of difficult work like this. To the viewer, one could see this as commentary on the “pull yourself up by your bootstraps” attitude that America itself romanticizes. Where the toxicity lies, however, is when this narration becomes increasingly negative, and as this happens, more and more disorienting aspects are introduced. One aspect that stood out was the addition of different sound effects like the classic THX deep note and the flashing images of well-known products from various periods in modern American history. Zach then fades into the Background during his portion as well. He repeats a similar, almost mantra-like narration on the self pondering one’s placement in society in the same downward spiral of negativity. The performance opened up an additional view and critique of a capitalistic-focused society with the lens of how it affects a particular demographic of the American population, in this case, the fear exhibited by white males and a resistance to change.
As opposed to the lens of capitalism and consumerism, day two of the symposium’s presentations were more focused on how art reflects human beings’ progression alongside technological and artistic advancements as well as examinations of human beings’ impact on the world around us. It’s why Sarah Gevurtz’s presentation was fascinating to me, as the intersection of art and science isn’t something I typically think about. Science’s focus on logic and the pursuit of the absolute truth somewhat contradict art’s potentially interpretive nature on the surface. Gevurtz cracks that surface with visual works that educate the public. “Delisted” was a series that featured prints of animals that have been removed from the U.S. Fish and Wildlife endangered species list. There is a certain fragility to the pieces as the Acrylic appears to be delicate. However, as a material, it isn’t. Perhaps this is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these animals lasting impact as a teaching tool for viewers of the pieces. The addition of “Deregulated” during the presentation created a sense of urgency by flashing the various actions and deregul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It becomes daunting to see how disinterested elected officials in the United States are in preserving our environment. It doubles as both a warning for the public about our lack of focus on these issues and a visually unique experience that sticks with the viewer.
As opposed to using art as a teaching tool in the interpretive sense, Lavinia German’s and Catalin Soreanu’s presentation focused on educating students and improving and staying up to date with aspects of the art world. It was exciting to see the emphasis on the utilization of a creative space for students. The focus of the research is typically on university students as German and Soreanu explore how an educational system’s specificity and process orientation is beneficial for artistic teaching. It is further expanded with their years-long research that zeroes in on students’ exhibitions over that time. I found the most interesting aspect was the development of certain elements of the space. With every exhibition shown, it seemed that everything became more and more complex over time as the students’ space became more malleable. One can easily use this research and presentation to potentially restructure how art education is taught in lower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high schools and in lower-income communities. The critical focus on progression was a consistent theme and extended to concepts beyond the academic sphere.
Carlos Torres Machado’s presentation was an interesting look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technology. The use of technology in art is common as digital drawing pads have become popular, but the use of technology as inspiration is not. The pieces shown are aptly called databases as color is viewed as information. I find the thoughts behind them to be incredibly interesting! The inspiration borrowed from the Stock Market data centers in New York is strange but evident in the work shown. Whether it was one of the physical database paintings or digital ones, there is a certain rigidness to the pieces that creates a unique feeling. It made me think of one’s own technological footprint and the individuality that comes with it. The inspiration of various currencies featuring prominent artists as a color choice for the paintings is another interesting layer. So is the sheer physicality of the paintings representing money’s impact on the individual. Those stock market data centers transferring paper stock to digital also have an interesting connection to Machado’s switch from creating these pieces of art from traditional to digital.
Matthew Sansom’s presentation of his work was quite informative. His musical roots show in his photographs as there is a certain audio one begins to imagine in association with the images’ simplicity. His description and the very concept of photo-phonography was also something I found quite innovative. The representation of sound as images is an interesting concept, especially since some of his photographic subjects aren’t necessarily well known for the abundance of sound. For example, Images shown from “Taken From the Water,” conjures the sounds of nature or the wildlife surrounding the forest environments pictured. These ar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teract with the water, such as rain and animal life swimming. The images also make one think self reflectively and this concept of reflection has a meditative quality. Matthew goes into more detail about how these aspects of self ar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representing the occasional contradictory nature of life. However, his recent work makes one think of the lack of sound outside the past year around the world and the collective rather than the self. They act as a response to the world with coronavirus in the form of capturing it. There is a certain emptiness to the photography, simple aspects of everyday life like curtains from a windowsill pushed by the wind. It transforms into that common need for normalized freedom and the longing to do the simplest activities that society took for granted.
ISVC 2021 was an event from which any creative can learn a great deal. Each presentation and each individual visual artwork can lead to new ways of looking for inspiration around us. It was a reaction to the current issues facing society today and specific responses to them. It was a genuinely informative event that opened my mind to different interpretation methods and positively removed the various layers of the presenter’s thought process for my understanding. Whether it was a straightforward analysis or a research piece, each person brought something new to add to a table consistently being filled with new vital additions to the Visual Art field.
CICA미술관 2021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 예술과 사회의 접점에서 질문하다
by 윤지혜
<
CICA미술관이 주최하는 시각문화 심포지엄이 3월 27일, 28일 이틀 간 열렸다.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 (ISVC)은 세계 각지에서 활동 중인 예술가와 시각문화 연구자들이 각자의 활동을 공유하고 문제의식을 나누는 심포지엄이다. CICA미술관의 전시 Visual Culture 2021 과 연계된 이번 행사에서는 전시에 참여한 작가와 연구자들이 각자의 작업과 비평적 시각을 나누었다. 코로나19로 인해 행사는 Zoom Meeting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발표자들은 각국에서 온라인으로 연결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싱가포르, 루마니아, 미국, 영국 등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참가자들이 참여해 각기 다른 주제로 이야기했지만 그 핵심 문제의식은 직간접적으로 닿아있었다. 주체성의 형성, 타자에 대한 이해와 재현, 탈식민주의, 예술과 자본의 관계, 환경문제에 대한 공유된 관심이 엿보였다. 발표 이후에는 열띤 질의가 이어져 논의가 더욱 풍성해질 수 있었다. 첫날에는 4팀이, 둘째 날에는 3팀이 작업을 소개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며 심포지엄을 돌아보고자 한다. Pearlie Rose S. Baluyut
“Diasporic Doubles and Double Sightings: René Magritte and the Filipino Security Guards at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첫번째 발표는 펄리 로즈 발루윳의 ‘디아스포라적 이중과 이중의 보기: LACMA 르네 마그리트전과 필리핀 경비원’이었다. 펄리 로즈는 2006-7년 LACMA의 르네 마그리트 전에서 미술관 경비원들이 중산모와 검은 양복을 착용했던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며 발표를 시작했다. 이 복장은 마그리트가 전시장을 걸어다니는 듯한 모호한 효과를 주기 위한 장치였는데, 펄리 로즈는 계층, 인종, 젠더의 문제, 탈식민주의, 타자의 스펙터클화가 중첩된 사건으로서 이 전시전략의 다층적 작동을 풀어냈다.
그녀는 중산모를 쓴 필리핀계 경비원들의 이미지가 전시기획자, 관람객, 경비원 각각에게 어떻게 읽혔는지, 그 의미가 계속 미끄러지며 작동한 방식을 설명했다. 기획자와 관람객들은 전시 스펙터클의 일부로 이 이미지를 이해했던 반면, 경비원들은 전시장 안에서 자신의 몸이 대상화되고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한 채로, 경제적 보상도 받지 않고 복장을 착용했다. 그런데 예술과 노동의 관점에서 보면 문제시될 수 있는 이 전략에 대해 필리핀계 경비원들 자신은 문제를 느끼지 않았다. 오히려 이들의 인식 속에서 중산모를 쓰고 양복을 입은 필리핀 남성의 이미지는 ‘영웅’ 이라고 기호화되었던 호세 리살을 연상시켰고, 이러한 복장을 한 자신은 이상적인 필리핀인으로 의미화되었다. 이렇듯 중산모를 쓴 경비원의 몸은 르네 마그리트, 호세 리살, 식민지적 편견과 초국가적인 꿈의 충돌 사이에서 그 기의가 미끄러지며 식민주의, 초국가주의, 계층, 인종의 뒤섞인 인식을 드러냈다. 이어진 질의에서는 인권과 평등, 탈식민주의의 가치를 내세우는 미술관이 그와 모순된 운영을 하는 점에 대한 비판과 미술관의 작동 자체가 더 가시화되어야 할 것이라는 논평이 있었다.
Patrick Scorese + Zach Trebino
“Toxic Nostalgia: an unending exploration into the recursive experience of ephemerality and selfhood for those inhabiting a white male body in the 21st century”
다음으로 패트릭 스코제와 잭 트레비노의 ‘유독한 노스탤지어- 21세기 백인 남성의 몸이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덧없음과 자아성에 대한 끝나지 없는 탐구‘ 발표가 이어졌다. 발표가 시작되자 사전 녹화된 영상이 재생되었다. 화면 속에서 패트릭은 소개를 이어나갔는데, 21세기 미국 백인 남성이 갖는 과거에 대한 향수와 미래에 대한 편집증적 불안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라고 개괄했다. 그런데 발표 중반부터 화면이 깨지고 상이 일그러지면서 여러 사운드와 이미지들이 중첩되기 시작했다. 발표자 뒤로 뉴스, 게임,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드라마의 장면, 공장과 마트의 이미지 등이 몽타주 되었다. 미국 백인 남성의 향수를 연상시키는 이러한 이미지들은 한편으로는 이들의 자아를 형성한 요인들을 펼쳐 보이면서 그 와해의 단초를 제시했다. 이 이미지들은 백인 남성의 부동하는 자아 또한 실상 여러 이미지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을 자각시키며 이들의 견고한 자아를 건드렸다. 이렇듯 발표와 퍼포먼스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형식을 통해 발표자들은 무엇이 침투하고 기워져 ‘나’가 만들어진 것인가를 질문했다.
질의에서는 아시아에 문화적 배경을 두고 있는 연구자들의 코멘트가 있었다. 문화적 맥락이 다름에도 이 이미지를 보며 향수를 느꼈다고 말하며 미국이 생산한 특정 도상이 노스탤지어라는 의미로서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Santiago Robles
“We all cook, we all eat. Collaborative art projects from Mexico City”
산티아고 로블스는 멕시코시티에서 진행한 공동체 협업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자신의 예술 실천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의 작업은 장소, 관계, 공동체, 지속가능성, 방법론으로서의 걷기라는 키워드를 망라한다. 그는 멕시코시티 도심 중심의 다리 주변 지역에서 시행한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그는 도심을 걷다 우연히 발견한 옛 다리에 흥미를 느끼고 장소 특정적인 설치 작업을 하려고 조사를 시작했는데, 이 지역을 여러 번 방문하면서 이 곳에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용자들이 여기서 먹고, 쉬고, 마약을 하거나 성을 판매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그는 예술가로써 그의 역할이 이 장소에 필요하면서 예술작업과 상호작용할 사람들은 원하는 바를 마련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해 사람들이 서로 대화하고 알아가는 장을 만들고자 했다. 그는 이 장소에 모이는 사람들과 함께 요리를 하고 먹으며 서로의 이야기를 듣는 이벤트를 여러 차례 실시했고 이 과정을 사진, 드로잉 등으로 기록해 전시했다.
한편 도시 밖으로 시선을 확장한 그는, 부엘라라는 농촌이 유전자 조작 농업으로 파괴되어 가는 것을 보고 지속 가능한 농업과 사회적 연대를 위한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씨앗을 활용한 회화를 비롯해 땅을 일구는 공동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질의에서는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걷기에 대한 물음이 있었다. 로블스는 거대한 대도시에서는 일상적인 경로를 벗어난 공간 경험을 할 기회가 없기에 도시를 걷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걷기가 그의 중요한 예술적 방법임을 이야기했다.
Louise Liwanag
“Graffiti for Growth: Street Art and Singapore’s Economy of Spectacle”
루이스 리와낙은 ‘성장을 위한 그래피티: 스트리트 아트와 싱가포르의 스펙터클 경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리와낙은 싱가포르 정부의 예술 투자가 자본 투자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젊은 도시로서 싱가포르의 이미지를 형성하고자 스트리트 아트가 주목 받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싱가포르에서 그래피티는 저항정신의 표현으로서가 아니라 퍼포먼스로써 거리에서 전시된다. 예술가들의 생산은 단순 스펙터클로서 소비되고 일정 기간 이후 자본이 재유입 될 공간을 만들기 위해 기존 작업은 제거되고 새로운 그래피티가 그려진다.
질의응답에서는 이러한 정책에 대해 싱가포르 예술가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질문이 나왔다. 예술가들이 그래피티의 정신과 반대된다며 이 정책을 부정적으로 보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의 작업을 보여줄 플랫폼을 제공해준다고 여기고 만족한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또한 싱가포르의 제한된 영토가 예술과 자본의 관계를 젠트리피케이션과 계층적 갈등이 아니라 작품의 삭제와 재생산이라는 방식으로 작동시킨다는 점도 부각되었다.
리와낙의 발표를 마지막으로 27일의 세션은 마무리되었다. 시차로 인해 오후와 새벽이 공존하는 시간대에서 다음 날을 기약하며 일정은 종료되었다.
Sara Gevurtz
“Endangered Species, Endangered Environment, Endangered Response”
3월 28일 오전 9시에 두 번째 세션이 시작되었다. 첫 발표는 사라 게버츠의 “멸종 위기, 환경 위기, 규제 위기”였다. 그녀는 생태 생물학을 전공하고 환경 정책 분야에 종사한 배경을 소개하며, 정책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환경 문제를 조명하는 것이 작업의 주된 골자라고 말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환경문제를 다룬 작업 세 가지를 소개했다.
멸종 위기를 다루는 <등재 Listed> 에서 게버츠는 미국의 주별 멸종 위기종 목록을 바탕으로 종의 엔딩 크레딧을 만들었다. 종 이름과 멸종 위기/위협종으로 등재된 연도가 검은 화면에 흰 글씨로 올라오는데, 이는 주변의 많은 동식물들의 이야기가 곧 끝이 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환경 위기를 이야기하는 <혼탁도 페인팅 Turbidity Painting>에서 게버츠는 과학자들과 협업해 수질의 혼탁도를 측정하는 사진을 촬영했다. 그녀는 이미지가 과학의 맥락에서 활용되는 점에 흥미를 느끼고 예술과 과학의 경계에 서서 환경요소에 대한 시각적인 데이터를 만들어냈다.
규제 위기를 이야기하는 <탈규제 Deregulated> 작업도 이와 비슷한 형식이다. 이 작업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미국 정부의 환경 규제 정책이 많은 부분 사라지거나 느슨해진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법에서 삭제된 수많은 조항들이 페이드인, 페이드아웃되며 관람자들은 그간 시행된 탈규제의 기나긴 목록과 정면으로 마주하게 된다.
이렇듯 사라 게버츠의 작업은 감성에 호소하는 방식으로 환경문제에 접근하기 보다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관람자들 앞에 제시하면서 현황을 인식하도록 한다. 발표 이후 작업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질의가 오갔다. 펄리 로즈는 ‘데이터가 보이게 하라’ 는 슬로건을 내세운 ACT UP이 에이즈 관련 통계수치를 공공 장소에 가시화했던 정치운동으로서의 예술과, 게버츠의 작업 간의 유사성을 언급하며 예술가와 활동가 사이 어디에 위치하고자 하는지 질문했다. 또한 이러한 예술이 정책적 영향력이 있기 위해서는 순수미술의 관객 범위 이상에 닿을 필요성이 있다는 코멘트도 있었다.
Carlos Torres Machado
“Data Centers: the thin line between art, tech, and money”
다음은 라틴 아메리카 출신 작가 카를로스 토레스 마차도의 발표였다. 그는 작업의 착상과 변화를 소개하고, 에콰도르에서 뉴욕으로 이주한 뒤 커리어 기반을 닦아나간 과정을 생생하게 나누었다. 마차도는 화폐의 색채와 데이터 처리 기계의 이미지를 결합하는 대형 회화 작업을 해왔다. 그는 자신이 존경하는 인물들이 그려진 화폐에서 색채를 따온 후 그 색상을 캔버스에 수공적으로 칠하고, 이러한 색면을 조합해 구글 데이터 센터의 기계 이미지를 기하학적으로 추상화한다.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서로 전환되는 그의 작업은 코로나 이후 디지털 페인팅으로 새로이 시도되고 있다. 질의에서는 데이터가 데이터 센터라는 구조체로 물질화되고, 색으로 추상화되어 전통적인 매체인 페인팅으로 다루어지다 다시 디지털 매체로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지는 작업 변천의 과정이 흥미롭다는 논평이 있었다. 또한 그가 뉴욕에 설립한 남미 작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도 오갔다.
Catalin Soreanu & Lavinia German
“Teaching as artistic (contextual) practice”
카탈린 소레누와 라비니아 절맨은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교육’이라는 주제로 이야기했다. 루마니아 LASI 국립예술대학교 교직원으로 재직중인 발표자들은 루마니아 예술 교육의 현실을 설명하고, 시각예술가로서의 예술 실천과 교육자로서의 실천 간 상호 영향에 대해 이야기했다. 루마니아의 경우 1989년에 공산주의 체제가 끝난 이후 무상 교육이 실시되며 대학 예술 교육도 본격화되었지만, 여전히 올드 미디어 위주의 형식미에 치중한 예술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정치적 종교적 영향으로 예술은 보수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예술대학을 졸업한 많은 학생들은 오랜 투자가 필요한 예술가로서의 길을 택하기보다는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진로를 택한다.
발표자들은 학생들의 작업을 더 넓은 풀의 예술가들에게, 또 대중들에게 어떻게 소개를 할 수 있을지, 학생들이 예술가로서 길을 가도록 제도적으로 어떻게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나누었다. 한편 교수로서 일을 하며 학생들과 관점을 나누고 새로운 방법들을 수용하는 것이 예술가로서의 예술 실천에 영향을 준다고 이야기했다.
카탈린 소레누의 개괄적인 발표 이후 라비니아 절맨은 예술대학의 갤러리에서 했던 학생 프로젝트를 ‘정체성’, ‘정치적 비판 담론’, ‘내밀한 삶’, ‘예술 매체에 대한 반성’의 네 테마로 나누어 소개했다. 질의에서는 예술교육이 교수-예술가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한 공감과 예술계와 대중 사이의 간극은 언제나 존재하지만 점점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Matthew Sansom
“Participation, awareness and the mediated self”
세션의 마지막 발표로 매튜 샌솜이 자신의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매튜 샌솜은 즉흥 연주, 자아, 탈재현, 수행성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예술활동과 이론적 연구를 해왔다. ‘참여, 자각, 매개된 자아’라는 제목의 이번 발표에서 그는 즉흥 연주에서의 망아 상태에 대한 이론화 작업을 설명하고 음악과 음향을 중심으로 한 예술실천을 소개했다. 그는 즉흥 연주자가 연주를 할 때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고 ‘흐름’ 상태에 놓이는 상황이 실재에 닿는 체험이자 영적 체험과 유사하다고 말하는 관점들을 제시했다.
한편 이러한 즉흥 연주의 실천이자, 탈재현의 방식으로 자연을 작업에 불러들인 <풍경 사중주 Landscape Quartet> 작업을 소개했다. 이 작업에서 연주자 넷은 악기를 활용해 자연의 물, 바람, 돌 등과 즉흥적으로 대화한다. 연주자가 바이올린을 물에 대고, 물이 흐르면서 현을 연주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연의 과정 안에서 움직이면서 음악을 만들고 세상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한편 <공원 벤치 체류 Park Bench Sojourn> 작업은 참여자들이 각자 자신의 지역 인근 벤치까지 걸어갔다가 거기 앉아서 다른 벤치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찍은 영상이나 소리를 감상하거나 자신의 녹음을 만들며 참여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일시적인 성찰의 시간을 마련해주는 벤치라는 장소의 특성에 주목하며 디지털 매체에 둘러싸인 일상에 대해 생각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샌솜은 <사진 축음기 Photo Phonography> 시리즈를 소개했다. 이번 전시에서도 소개된 <8층 위 Eight floors up>는 스틸 이미지와 현장 녹음을 결합한 사진 작업 시리즈의 일환이다. 8층에서 자가격리를 하며 녹음한 거리의 소리가 빛에 일렁이는 커튼 사진과 함께 제시되었다. 질의에서는 시대의 예술적 경향성으로부터 독립적인 예술가의 실천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다.
이틀 동안의 세션은 간단한 담소를 나누는 해피 아워를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코로나 상황으로 화상으로 진행했음에도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풍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참여한 예술가와 연구자들이 다양한 배경 속에서 각기 다른 작업을 해나가고 있지만 그 근간에는 차이만큼이나 공통 지점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사회에서의 예술의 위치, 예술과 정체성, 권력, 인식과의 관계 등 비슷한 관심과 고민이 배후에 흐르고 있기에 발표들은 서로 연결되며 공감과 교류가 가능했다. ISVC 2021은 현대미술의 담론들을 한국에 알리고 세계의 다양한 시각이 교통하는 시간이었다. 심포지엄의 전말을 요약한 이 기사를 통해 이틀 동안의 강도 높은 대화가 전해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