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ember 19th, 2020
via Zoom and Facebook Live
Sigal Ben-David & Les St. Leon
William A. Brown
Min young Kang
Eliseo Ortiz
Agatha Park
Jennifer Sova & Jeanne Donegan
organized by CICA Museum
We invite artists, scholars, and researchers worldwide and local comm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ISVC). The community of artists, researchers and academics meets in th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participates in the exhibition.
ISVC is an international platform for diverse and critical perspectives on visual culture. Through ISVC, we aim to create a global network of researchers/artists and consumers/makers of visual culture, and foster critical thoughts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on a global scale.
Virtual Conference on Visual Culture: International Symposium during the 2020 Pandemic
by Lauren Baucum
What will an international art conference look like during a pandemic when international travel and public gathering is not an option? It will look different from past conferences but different does not equal lesser, a point proven during CICA Museum’s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2020. The ISVC 2020 was held virtually via Zoom and Facebook live on Saturday, September 19, 2020. The virtual platforms were the meeting space for the artists and observers as they joined from homes and parks and from across multiple time zones. Without the physical necessity to wander from exhibit to exhibit, all artists and observers were solely focused on the other artists and exhibits as they entered mental spaces through virtual connection. An intimacy was experienced from the limited number of Zoom participants that allowed for both a professional look and a glance into the backstage of the artists’ work. ISVC 2020 was nothing short of a stimulating experience full of life, inclusive conversation, focused observation, comments, and genuine questions – a true celebration of visual culture through the virtual.
ISVC 2020 was a space where artists presented and discussed their work. Six artists contributed to the ISVC 2020: Sigal Ben-David and Les St. Leon, William Brown, Jeanne Donegan and Jennifer Sova, Agatha Park, Minyoung Kang, and Eliseo Ortiz. An introduction session was followed by two more presentation sessions throughout the day. During the presentation sessions, the artists showcased their exhibited work, giving background to and explanation of the work. Each presentation was followed by open dialogue- comments, questions, ideas, and conversation.
All artists possessed an air of openness to be a part of the panel – accepting the views and comments of each participating artist. The exhibits varied from photographs and memory to smartphone apps and augmented reality. Sigal Ben-David and Leo St. Leon, artists based in New York City, presented their collaborative work My Playground of Others’ Memories. The exhibit included seven photographs of objects (arranged or imprints of) which existed as artifacts of special memories. In pretext to the concept of the exhibit, Sigal and Les briefly shared elements of their past (Sigal was born in Israel and the granddaughter of Holocaust survivors and Les born in Canada with a childhood traveling acros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erception of moments and experiences changes according to each person’s memory. Our memories are susceptible to distortion.
In taking photographs of the arranged objects or imprints of object, Sigal and Les added another layer of distortion to the relics of memory. As most playgrounds have rules for those who play in them, Sigal and Les had rules to abide by in My Playground of Others’ Memories: 1) they could not keep the object, 2) the objects had to have belonged to someone unrelated to them 3) no useful objects were allowed.
William Brown presented two works: Paintings for a Robot and excerpts of his exploration of slow-motion short films (“27 Americans”, “162 Citizens in Trump Country”, “Holi Becomes Chaos”). Film was the medium of choice for the exhibits of Minyoung Kang (A Conversation with AI) and Jennifer Sova and Jeanne Donnegan (Thrill of the Chase).
Paintings for Robots builds on concept of aleatory mixing of critical mass. “The gold standard of paintings in the ‘50s” as Brown puts it, Aleatory mixing was developed as a concept by John Cage and is used by Brown in a digital format to bring virtual paintings from a mixture of photos. The converging images resulted in both real and abstract paintings. Robot paintings is a controversial form of art, a point brought up in conversation after Brown’s presentation. The question of art as it is a result of human creation is approached and met with the perspective that even when using digital medium, there is always a human element behind the creation at the very least that it was human who created and continues to reprogram artificial intelligence.
Minyoung Kang engages both the human and the virtual in her “Conversation with AI” minimalist film. She connects the human with the “Posthuman” era, defining the Posthuman era as when “high technology is deeply connected to external daily life.” In her short film, written captions read the dialogue between two existences against the backdrop of two nature scenes: a river and the sea. The first question asked, “what is life?” The second question, “who are you?” at which point the viewer becomes aware that the one answering is Clova (similar to Apple’s Siri and Amazon’s Alexa). In response to emotional questions, Clova gives encouragement. Clova is not limited to giving information but is capable of providing deep emotion. The work addresses the concept of relationship. What is said of a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if humans can derive emotional understanding from the responses of AI? Humans reap mental and emotional benefit from AI leading Kang to explore a reality where “others are no longer limited to only humanity”. One gleans a much bigger philosophical meal when approaching this work from an open, non-ethnocentric mindset.
Ever wonder about the thin line between romantic pursuit of a women and flat-out creepy pursuit of a stalker? Jennifer Sova and Jeanne Donnegan have blurred that line (or perhaps exposed the lack of line there in the first place) in their film that goes between scenes from romantic and horror film. Scenes that go from Breakfast at Tiffany’s to The Shining. The work challenges male ownership as it relates in their relationship to women. Even in “romance” there is dominance of the man over the woman. The commonality between these two very separate genres is the chasing after women; one is perceived as romantic and one is seen as horrific, but nonetheless both a pursuit. The films used are classic American films such as American Psycho, Breakfast at Tiffany’s, and The Shining. This familiarity helps to intensify the new perspective that is given to the scenes in the project. The concept is both displayed visually through the changing scenes and heard through the audio. Film scores and love songs are played over multiple scenes (both horror and “romantic”) to further obscure the emot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visual horror or romance.
Even artists need games. Eliseo Ortiz exhibited his artistic creation of a game that opens conversation on politics, oneness, community, global citizenship, and much more. Built on the question of lines and the role they play to connect or divide, Ortiz created a puzzle with riddle instructions to engage those who play in a broader conversation of citizenship. Even lines that are imagined can become real unless realized they only exist according to mindset. The front of the puzzle box shows a picture of the terrai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Mexico as it appears from space (no geo-political lines). As an artist, Ortiz creates works in attempts to explore questions and ideas such as this one on lines.
Agatha Park’s Gangnam Makeover is a participatory augmented reality project that challenges society’s standard of beauty. Augmented Reality is probably most recognizable for its more well-known use in Pokemon Go, Park explains. As with Pokemon Go, the augmented reality is viewable to anyone who downloads and uses the application. In Parks work, the augmented reality realm is cast over the social reality realm rather than just the physical. Messages on natural beauty and worth from South Korean women, which are collected through Park’s website, are projected onto the billboards, rewriting the messages on display throughout a Subway station in the Gangnam District. Gangnam Makeover is giving a new look to the face of beauty in South Korean women, one that is natural is celebrated for its humanity.
These times have seen a change in all daily activities and planned events. Art is a constant in our changing world – constantly being created from the inconsistencies and the baffling experiences of life. The ISVC 2020 adapted to the changes in a positive manner and transformed the experience into a meaningful virtual gathering. The French artist JR remarked, “art is about raising questions and giving space to interpretation and dialogue.” ISVC 2020 gave such space for presentation, pondering and dialogue amongst the artists enriching the experience of soaking in the present artist creations. The artists are currently active and can all be contacted through websites and media.
In-betweenness: Navigating Identity through Art
by Eunji Seong
Identity, Migration, Gender, Politics, AI, Plastic Surgery ···.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ISVC), organized and hosted by CICA Museum, South Korea, the aforementioned (italicized) issues that contemporary visual studies mainly deal with were again addressed and questioned. The symposium was held online via ZOOM on September 19th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Director Leejin Kim pointed out, the most challenging part of the symposium wa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North America and South Korea, since most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joined from the United States while other participants from South Korea.
Yet, under such an unprecedented situation, each artist’s presentation on their work and artistic practice was nonetheless thought-provoking and intellectually stimulating. Now I would like to go over some of the ideas I found worth pondering and discussing by emphasizing “in-betweenness” as an overarching concept.
Sigal Ben-David and Les St Leon’s collaborative series My Playground of Others’ Memories (2014-2017) consists of 10 color photographs. As Ben-David explains, this work is about memories and collecting “things”; Kippah (also known as a yarmulke), for example, a cap worn traditionally by Jewish males, is perhaps the most easily identifiable symbol of a Jew. Gathering, one of the photographs shows a number of Kippahs – once again reminding me of Ben-David’s personal history and identity as an Israeli. Certainly, this series navigates in-between space from (old) memories to new memories which may well be distorted.
The artists experiment with various materials and compositions, trying to transform all this into abstraction. The result is, in turn, somewhat ambiguous and dream-like; looking at the work, I felt like I was in the midst of what they have tried to make sense of, reminding me of what the artists say about their work: “we try to be nuanced.” The in-between space of crumpled memories is open to new interpretations. The openness of the work is a beautiful part of the whole work, and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is series is very eye-pleasing as well. Charles Baudelaire said, “Art is the mnemotechny of the beautiful.”
Science, technology, and interest in the future have increasingly been great inspirations of art. Min young Kang’s poetic experiment evokes a tension between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urging us to redefine “humanity.” Kang’s video shows a conversation between a human and “Clova,” an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developed by Naver Corporation. Basically, the conversation comprises human’s questions and Clova’s responses. The conversation is nothing special except there is an AI involved, so much so that one would be certain that it is a conversation between ordinary people. Kang’s work challenges us to think about how far AI technology has gone and to change our long-established stance toward AI. In addition to the tension between human and AI, there is another tension — of words and images. The unique atmosphere of Kang’s work comes from this twofold tension, which I like to understand as navigating in-betweenness.
In the meantime, Agatha Park’s augmented reality (AR) project Gangnam Makeover is, I must say, a very timely work especially for women in South Korea; South Korea has established a very narrow definition of beauty, and Gangnam district in Seoul is known for plastic surgery. A lot of women struggle with their body image and go to Gangnam to make themselves look “better.” But how would we define “better” looks? As Park explains on her website, beauty standard is firmly set in South Korea: Big double-lidded eyes, a high nose, a V-line chin, “water-gloss” skin, and 45kg. Park wants to challenge this (delusive) standard with her thoughtful yet bold project. Gangnam Makeover is a participatory project. In the artist’s website,[1] you can find a link for the project where thoughts about the definition of beauty are collected. All the messages are archived in the official Gangnam Makeover Twitter account.[2] Some of the messages are:
Beauty is all of us who breathe and live. It’s not something that can be standardized by someone.
Beauty that I dream of: Something everyone is born with. Something that grows by loving yourself and others.[3]
AR is used for this project to effectively juxtapose reality with alternate/preferred realities. Musing on the gap between this highly stereotyped reality and the preferred realities Park’s project is showing, I see, again, a translucent (or, rather opaque) reality, where some people try to dismantle the myth of beauty standard while others blindly champion it. People only see the way they want to see. Redefining beauty especially in South Korea is a challenging task and it must take a long time to awake the society from the reality. As Park has made way for more discussions and thus solutions on the matter of redefinition of beauty/plastic surgery, I hope to see more and more meaningful thoughts and actions coming.
Using certain media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William A. Brown. Brown has worked in photography and video, among many other materials, and he is now challenging traditional views on both photography and painting as he is “trying to paint with a camera.” Brown’s photographic image/video offers a fascinating experience by showing some seemingly trivial scenes with his blending of still photography and motion pictures. Brown’s practice tries to navigate in-betweenness from the media he uses, and the result turns out to be fantastic.
Understanding where the artist is coming from is fundamental in understanding his/her art as a whole. I was again reminded of this after virtually attending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Each artist’s work showed me a sort of fascinating tension that I find its root from their experiments with their identities — political, cultural, or social —, and every in-betweenness that has been tackled by each artist, transforming into works of art, revealed the essence of their work.
[1] https://www.agathapark.com
[2] https://www.agathapark.com/gnmo
[3] Ibid.
21세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언택트 전시의 가능성이 구현된 심포지움 ISVC
by 정혜성
연초 계획대로라면 이번 워싱턴 DC에서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이번 International Symposium for Visual Culture 2020(이하 ISVC 국제 심포지움)은 코로나 시국의 영향을 적극 수용하여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020년 9월 19일 미국 동부 시간 기준으로 오전 9시 30분부터 Zoom에서 시작된 심포지움은 성황리에 개최되어 진행되었다. 이번 국제 심포지움의 진행자로서 CICA 미술관의 김리진 아트 디렉터는 세션의 원활한 진행과 통역을 도우며 심포지움을 이어 나갔다. 오프닝 리셉션에는 CICA미술관의 소개를 시작으로, 발표자들의 자기소개와 서로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으며, 본격적인 세션에 대비하여 Zoom으로 서로의 작품을 공유하는 것을 테스트 하였다. 각 세션 동안 사전에 정해진 순서대로 발제자가 작품을 선보인 후, 이에 대한 아티스트간의 질의 응답이 이어지면서 세션이 원활히 진행되었다.
현지 시간 10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이어진 첫 번째 세션에서는 Sigal Ben-David과 Les St. Leon, William A. Brown, 강민영 아티스트가 참여하였다. 이번 심포지움의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Sigal Ben-David과 Les St. Leon은 “My Playground of Others’ Memories “라는 작품을 선보였다. 사진술을 전공한 Sigal Ben-David는 디지털 미디어를 전공하였고, Ben-David는 시각예술 속에서 오브제의 역할에 대해 형태나 패턴을 가진 직물 또는 물질을 활용하여 실험하는 것을 통해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Ben-David는 사회적이면서도 정치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에 관해 감상자에게 질문하고 인간의 삶을 유기적으로 형성하는 내러티브를 형성시키고 무너뜨리기를 반복하는 예술작업을 이어나갔다. Les St. Leon은 학부에서 순수 예술을 전공한 후 컴퓨터 애니메이션 연구에 몸 담으며 움직임과 연속성에 따른 시각언어를 연구했다. 그들이 예술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인간의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며, 인생의 미래를 모색하게 하여 변화하도록 한다. 이번 세션의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William A. Brown은 “Trying to Paint with a Camera”라는 작품을 선보였다. 그는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진과 실험 비디오 영상을 제작하였다. 사진과 움직이는 그림들간의 묘사에 주력하는 그는 평면으로 벽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재생한 바 있다. 그는 미국 남부지역에서 평면 스크린을 통해 실험 영상을 선보인 최초의 아티스트들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거리 사진들과 아방가르드 시네마를 통해 공공 장소나 행사에 모인 대중이 쉽게 드러내지 않는 세부적인 묘사를 드러낸다. 특히 이번 심포지움에서 보여진 “Trying to Paint with a Camera”또한 그의 카메라를 통해 들여다볼 수 있는 예술가 특유의 진지하면서도 유머러스한 시선들과 장면들, 세심한 면모를 느낄 수 있는 실험적 예술로서 대중에게 메시지와 재미를 선사한다. 세션의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Min-young Kang(강민영)은 대한민국의 홍익대학교에서 판화와 미술사를 전공한후, 현재 사진, 판화, 영상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 예술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심포지움에서 그녀가 선보인 “A conversation with A.I.”작품은 21세기 과학 기술 산업 발전에 따른 인공적인 결과물인 인공지능과 인간과의 대화와 그들만의 심리적 소통을 통해 감상자들로 하여금 메시지와 통찰을 얻도록 한다. 그녀는 작품 속 배경으로 바다와 숲 속 계곡을 제시하면서 A.I인 클로바와의 대화와 배경이 바뀌며 이어지도록 하였다. 포스트 휴먼 시대에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이미지는 자연 그 자체이면서 그들의 대화는 철학적이면서 인공적이지 않다. 상대가 인공물인 A.I.라는 것을 사전에 말하지 않았다면 알아채지 못할 만큼의 대화가 연결 흐름은 인공물과의 대화적 가능성과 한계가 어디까지인지에 관해 인간으로 하여금 호기심을 갖게 한다.
두 번째 세션은 1시간의 휴식을 가진 후, 미국 동부 현지 시간으로 1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Eliseo Ortiz는 이번 심포지움에서 “The conflicting definition of players: a revision of competitive games” 작품을 선보였다. 그는 멕시코 태생의 미디어 아티스트로 주로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와 게임을 접목한 작품을 작업하였다. 정치적 사회적 분쟁 참여를 독려하는 그의 작품은 멕시코와 뉴욕 등에서 선보여왔으며, 그는 독립 영화제작자로서 캐나다 토론토와 미국 샌디에이고, 쿠바 아바나의 페스티벌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 그는 뉴욕에서 미디어 아트를 전공한 후 현재 콜로라도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Eliseo Ortiz의 작업은 애니메이션 같기도 하고 역동적인 게임처럼 시선을 다른 곳에 둘 수 없을 정도로 흥미롭다. 치열한 게임 속 플레이어들의 묘사와 분쟁은 그들이 정치적 사회적으로 갈등을 겪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상호 소통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해 대중에게 메시지를 제기하여 강렬한 몰입감을 선사하였다. 그리고 이번 세션의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Agatha Park은 한국 태생의 XR 아티스트 겸 기술자로서 3D와 디자인 연구를 하였으며, 하버드 디자인 대학에서 공적 도메인과 몰입력 있는 기술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프리카 모로코에까지 작업 환경을 넓힌 Agatha Park은 이번 ISVC에서 “Gangnam Makeover(2020): A Participatory AR Intervention to Redefine Beauty in South Korea” 작품을 선보였다. 강남의 지하철 역사 안 벽면에 설치된 성형외과 광고 전광판을 촬영한 그녀는 영상 위에 아름다움에 대한 본질적 의미에 관해 질문을 던지고 대답하는 텍스트를 영상 속에 표현함으로써 사회적 통찰적 메시지를 보여준다. 영상 제작 결과물을 통해 그녀는 성형외과 기술이 선진적으로 발달한 한국 사회의 미의 기준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제기함으로써 한국에서 흔히 발견되는 문화적 세태에 관해 아티스트로서 접근하였다. 그녀는 최근 온라인을 통해 AR경험을 확장하는 실험적 미디어 작업을 진행 중이다. 그녀의 고향인 한국이 촬영 배경인 이번 작품은 AR에 관한 그녀의 작업적 시선을 환기시켜 주었으며 대중에게 사회적 문화적 메시지를 던졌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세션의 마지막 발제자로서 Jennifer Sova와 Jeanne Donegan가 작품을 선보였다. 이번 심포지움에는Jeanne Donegan이 참여하였으며, 그들은 “Thrill of the Chase: The Threat of Male Desire in American Film” 작품을 ISVS에서 선보이며 아티스트들과 대중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번 작품은 두 사람이 협력하여 제작한 단편 영화 형식으로서 미국 로맨틱 코메디 영화와 공포 영화 속 장면들을 조합한 작품이다. Jeanne Donegan은 이미지를 기반으로 작업 활동을 펼치는 예술가이자, 시카고에서 활동하는 교육가이다. 그녀는 코네티컷 대학교에서 순수예술을 전공한 후 사진 예술을 전공하였다. 여성성 및 상호 관계적인 쟁점에 주목하여 움직이는 이미지를 주제로 작업하는 그녀는 현재 시카고에서 아트센터 디렉터로서 활약하며 여성의 잠재적 가능성에 관해 작업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그리고 Jenifer Sova는 Overlook의 설립자이자 디렉터로서 노마딕 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사진을 전공한 그녀는 젠더 연구와 사업을 병행하면서 현재 시카고와 인디애나를 오가며 작업 환경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ISVC에서 선보인 작품은 그들의 관심사를 심혈을 기울여 제작한 작품으로, 쓰릴감 넘치면서도 유머러스하게 영화 속 장면들의 편집과 조합을 통해 남성들이 바라는 희망적인 여성상, 세상이 여성에게 바라는 위협적인 시선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그들은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통해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감상자가 사회적 문화적 메시지를 통찰하게 하는데 작품 동기와 목표를 두었다. 아티스트들의 작품이 모두 선보여진 후 참여한 아티스트들간의 질의 응답이 이어졌고 성황리에 세션이 마무리되었다.
CICA 미술관이 주최하고 진행한 이번 ISVC에서는 감상자가 사람을 실제로 상대할 때 느끼는 감정처럼 유쾌함, 공포감, 황홀감, 재미 등을 느끼는 것을 넘어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통찰과 메시지를 던지는 작품들을 통해 시각문화예술의 가능성과 역할을 환기시키고 발전 가능성을 내비쳤다는데 의의가 있다. CICA 미술관이 주최하고 진행한 이번 국제 심포지움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지만 예술가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참여로 성황리에 개최되고 마무리 되었다. 평면적인 시각 이미지의 한계를 넘어 21세기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각 문화 예술이 넘나들 수 있는 경계와 가능성은 점차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ISVC 2020은 아티스트로서의 사명 의식, 작품 환경, 제작 기술 방법에 관한 다양성과 예술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작품을 제시하였고, 성숙한 토론 의식의 장(場)으로서 심포지움의 명성을 확인시켰다. 21세기 예술가의 사회 참여는 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인공물 즉, 작품으로서 감상자로서의 인간이 더욱 인간답게 살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이번 ISVC에서 마주한 예술가들의 작품과 그들의 대화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두된 언택트 전시회의 가능성이자,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전해져 온 심포지움의 백미였다.
CICA 시각문화 국제 심포지엄, 명증된 사실을 향해 질문하다
by 유수현
CICA 미술관은 2014년부터 시각예술계의 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출판, 전시 및 컨퍼런스를 진행해 왔다. 그 일환으로 지난 9월 19일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시각문화 국제 심포지엄(ISVC)은 작가들 사이의 국제적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시각문화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확장하고자 기획되었다. 참여 작가는 시갈 벤-다비드&레스 세인트 레옹, 윌리엄 A.브라운, 강민영, 엘리시오 오르티즈, 아가타 박과 제니퍼 소바&진 도네건 6팀이다.
가장 먼저 시갈 벤-다비드와 레스 세인트 레옹은 과거의 사건을 구성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서술 방식을 모색해 왔다. 그들에게 중요한 키워드는 ‘기억’으로 이는 과거를 대변하는 물질, 즉 누군가의 소유물로 드러난다. 그리고 두 작가는 평범한 사람들이 수집한 익명의 사물들을 소재 삼아 그 질감과 형태, 구성을 탐색하고 카메라에 담는다. 작업실에서 이루어지는 이 행위는 이른바 ‘기억의 놀이터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라고 설명된다.
그렇다면 이 놀이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물에 얽힌 누군가의 기억을 새롭게 개조하기 위함이라고 추측했다면, 그렇지 않다. 두 작가가 지키는 규칙은 ‘기억은 영원히 유지될 수 없으므로 대신 그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래의 오브제의 형태를 있는 그대로 유지하지는 않는다. 그것들은 큐브 형태에 가둬지거나, 희게 탈색되거나, 카메라 필터를 거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실용적 사물의 경우 그 기능성은 점점 흐려진다.
어떤 오브제의 실제 과거와 작가들의 작업을 거친 결과물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같은 사건을 경험해도 주체의 사유에 따라 다른 기억을 남길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두 작가는 그들의 작품이 설치 작품이 아닌 사진 작품이라고 설명하는데, 1차적으로 변형된 오브제의 형상은 사진 촬영을 통해 2차적으로 거듭 왜곡된다.
그리고 윌리엄 A. 브라운은 공공 행사를 영상으로 촬영한 뒤 슬로우 모션으로 처리해 그 상황을 새로운 시각으로 목도하게 한다.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 흥분에 에워싸인 그의 지지자들, 마르디 그라 축제나 인도의 홀리 축제를 즐기는 사람들은 기쁨과 희열이라는 일관된 감정을 드러내는 듯하다. 그러나 이들의 표정과 몸짓은 느린 속도로 늘어진 움직임 속에서 마냥 유쾌하지 않은 모습으로 포착된다.
카메라를 향해 승리의 기쁨을 격하게 표출하는 트럼프 지지자의 표정은 한편으로는 또 다른 누군가를 향한 조롱처럼 다가오고, 홀리 축제에서 물감을 거칠게 문지르는 사람들의 모습은 얼핏 격렬한 갈등 상황처럼 보인다. 손의 물감을 타인에게 억지로 문지르는 행위는 마치 특정한 색깔을 강요하는 정치적 대립 상황과도 같은 인상을 남긴다. 이렇듯 각 장소의 사람들은 모두 동일한 목표 하에 모였으나, 하나로 뭉뚱그려진 덩어리 안에서 개개인의 속마음은 쉬이 헤아릴 수 없다.
또한 브라운은 로봇 장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각적 결과물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그는 비디오의 특정 프레임을 그림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수천 개의 이미지를 무작위로 병합하기 위해 비디오 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완성된 이미지는 어딘지 모를 심오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듯하지만, 그 과정이 더없이 우연적이라는 점은 추가적인 의미 부여에 제동을 건다. 그럼에도 그 우연성 이면에는 작가의 의도와 준비, 프로그래머의 설계가 자리한다.
그러나 AI의 경우 로봇과는 약간 다른 차원의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완전히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말할 수 있는 AI는 인간 생활에 그 어떤 기계보다도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 그리고 AI가 아무리 그 몸집을 불려가고 있다고 한들, 그것이 과연 인간 존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까? 그러나 사고방식을 전복한다면 이러한 질문도 가능하다. 과연 AI를 기계 혹은 인간이라는 이분법적 물음으로 결론짓는 것이 합당한가? 이 질문에 대해 강민영은 새로운 답변을 제시한다.
강민영은 AI와 인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새로운 형식의 감정적 교류에 주목한다. <A conversation with A.I> 속 자연 풍경을 배경으로 한 인물은 클로바에게 행복에 대해 질문하고, 클로바는 감정적이고 철학적인 답변을 내놓는다. 인물이 힘들다고 고백하자 클로바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을 들려주기도 한다. 그들의 교류는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는 평범한 대화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힘들 때가 있냐는 질문을 인식한 클로바가 그것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한다고 대답하는 순간, 클로바가 인격을 지닌 인간이 아니라 인공지능 스피커라는 사실이 여과 없이 노출된다. 이 상황은 단순히 AI가 인류를 대체할 수 없다는 주장에 설득력을 더하는 것일까? 작가는 이에 대해 이제는 AI와 인간 사이의 관계를 기존의 인간 대 인간의 관계, 혹은 인간 대 기계의 관계로 바라보기보다는 새로운 관계의 출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엘리시오 오르티즈는 상상된 경계, 즉 국가와 국가를 가르는 국경선에 집중한다. 그는 경계선이란 연결성의 개념으로 지워져야 한다고 본다. 그는 이러한 경계선을 직접적인 행위로 인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게임을 선택했다. 그가 제작한 직소 퍼즐은 멕시코와 미국의 지도 형태를 띠고 있는데 퍼즐 상자 앞면에는 국경선 없이 하나의 국가처럼 연결된 멕시코와 미국의 영토가, 상자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스페인어와 영어로 인쇄되어 있다.
“우리가 구축해 온, 분리되었다는 인상을 주는 이 선은 사실 상상에 불과했다. 우리가 선을 지우려 할 때마다 그것은 우리가 분리되었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기 위해 다시 교차한다.”
그러나 영어는 뒤집힌 채 적혀 있기 때문에 영어 사용자가 이 설명을 읽기 위해서는 상자의 위아래를 뒤집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자 앞면의 이미지도 함께 뒤집히면서 남쪽에 자리하던 멕시코 영토가 위쪽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적 변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이 가능해진다. “우리는 통상적으로 무엇을 북쪽에, 무엇을 남쪽에 두었는가?” 이때 우리나라의 지도 역시 흡사한 맥락에서 되돌아볼 수 있는데, 세계지도에서 아시아 대륙과 아메리카 대륙의 위치를 서로 바꾸면 한반도는 세상의 중심에 설 수 있음에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세계지도는 한반도를 맨 오른쪽 구석에 위치시키기 때문이다.
다시 퍼즐로 돌아와서, 작가는 이 퍼즐을 여럿이 힘을 합쳐 맞추도록 한다. 그리고 완성된 퍼즐의 결과는 예상과는 사뭇 다르다. 두 나라는 국경선을 기준으로, 바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별개의 대륙으로 완성되기 때문이다. 아무리 선이 없다고 상상해도 퍼즐을 맞춘 뒤 그 선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다시 자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결국 미국과 멕시코, 나아가 모든 국가와 지역들 사이에서 진행 중인 정치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더없이 미비하다는 현실을 짚어낸다.
그리고 아가타 박은 강남미래여성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특히 여성들을 압박하는 일률적인 미의 기준에 비판을 가한다. 작가는 한국 출신이지만 해외 생활을 통해 여러 문화를 접해본 입장으로서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사회의 기형적인 면모를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본다. 프로젝트의 배경이 되는 강남은 페미사이드 물결의 시작이자 부의 상징, 그리고 성형수술의 메카로서 다층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중에서도 작가가 주목한 압구정역을 뒤덮은 성형외과 광고들은 여성의 아름다움은 곧 그들의 행복과 직결된다고 말한다.
작가는 “당신은 아름다움이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당신은 대중매체에서 정의하는 미의 기준을 접할 아이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전해주고 싶은가?”라는 두 가지 질문을 던진 뒤 SNS를 통해 답변을 수집했다. 그리고 작가가 제작한 AR 어플리케이션으로 카메라 화면에 성형수술 광고를 비추면 수집된 답변들이 화면상으로 광고 위를 뒤덮게 된다. “나다운 것, 그것을 편하고 부담 없이 표현할 수 있는 환경.” “자기 자신을 깎아 먹지 않는 아름다움.” “거짓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다가 자신이 가진 아름다움을 잃지 말길.” 결국 이 프로젝트는 거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거대한 집단적 움직임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그 주제가 결코 가벼워질 수 없음을 효과적으로 일깨운다.
또한 제니퍼 소바와 진 도네건은 <Thrill of the Chase>를 통해 영화 속에서 타자화된 여성 이미지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들은 여러 가지 영화를 레퍼런스 삼아 미디어 속 남성과 여성의 권력 관계에 주목한다. 흥미로운 점은 타자화되고 물화된 여성상이 <티파니에서 아침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더티 댄싱>이나 <타이타닉> 등의 클래식 로맨스 영화 속에서도 포착된다는 것이다. 각 영화에서 공통적으로 추출되는 부분은 남성이 여성에게 물리적 힘을 가해 입을 맞추거나 포옹하고 여성을 뒤쫓는 장면이다. 그러나 이렇게 선별된 일반적인 로맨스 영화 속 클립들은 호러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 속 장면과 병치된다.
<아메리칸 사이코>는 유일한 호러 영화임에도 그 존재감은 대단히 강력하다. 도끼를 든 주인공에게 쫓기는 여성의 공포에 찬 비명소리는 다른 영화의 사운드를 뒤덮기도 한다. 인상적인 것은 이 영화로 인해 다른 영화 속에서 남성이 여성을 뒤쫓는 장면은 물론이고 애정 행위를 하는 장면마저도 호러 영화처럼 느껴진다는 점이다. 결국 이는 미디어가 여성을 로맨틱한 상황에서도 남성의 힘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존재로 묘사해 왔음을 방증한다.
여성이 거부 의사를 밝혀도 남성은 굴하지 않고 그녀의 뒤를 쫓고, 거칠게 몸을 붙잡고 강제로 입을 맞춘다. 그리고 여성은 분명 남성을 피해 도망치려 했음에도, 붙잡혀 안기는 순간 순순히 호응한다. 결국 남성은 물리적인 힘과 강압적인 언어로 여성을 ‘쟁취’하고 ‘손에 넣는다’. 이렇게 규정된 남성상과 여성상은 대중매체의 치명적인 파급력에 힘입어 우리의 실제 행동마저도 지배해 왔다. 그리고 이 작업은 지금껏 미디어라는 껍데기 속에서 가려져 왔던 사회적 표상의 오류를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공격한다.
결국 어떠한 사실이 명증되었다고 확신하는 것은 제자리걸음만을 허락할 뿐이다. 그렇기에 동시대를 아우르는 모든 시각문화는 기존의 질서를 향한 거듭된 의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오랜 시간 우리의 사유를 지배해 왔던 이분법적 구조는 여러 양상으로 도전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중 일부는 여전히 건재하다. 국적, 성별, 정체성을 가르는 항구적인 기준들은 쉽게 흔들리지 않고 시대의 흐름을 타고 새로운 기준들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여러 가지 요소 중 시각적 요소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우리의 지각을 파고들지만, 동시에 가장 조종되기 쉽기에 뒤틀린 관점을 무의식 속에 내재화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을 교정하고 타개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 역시 또 다른 시각문화이다. 그리고 ISVC에서 소개된 작가들은 기존의 기준을 변형시키거나 직접적인 행위를 촉구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그것을 바라본다. 이를 통해 여덟 작가들은 어긋난 현실을 향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그러한 움직임에 활발히 동참하고 있다.
2020 CICA 미술관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
by 박제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개최된 2020년 CICA 미술관의 국제 시각 문화 심포지엄은 CICA 미술관 Art Director 김리진의 진행으로 6팀의 발표자가 각각 약 40분가량의 시간 동안 자신의 작업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참여자들과 이어갔다. 동시대 미술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발표자(Sigal Ben-David & Les St. Leon; William A. Brown; Min-young Kang; Eliseo Ortiz; Agatha Park; Jennifer Sova & Jeanne Donegan)는 자신들의 현재진행형 작품을 주제로 토론을 이끌었으며 예술이 지표 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아우르는 의견을 발표하였다. 이와 연장 선상에서 참석자들의 질문은 작가들의 향후 발전 가능성과 사회 속 예술의 위치에 대한 시야 또한 넓혀 주었다.
외부 참가자의 관점에서 이번 심포지엄은 각자의 공간에서 컴퓨터 스크린을 마주 보고 토론해야 하는 물리적 거리감에 대한 아쉬운 부분을 분명 남겼지만 이로 인한 긍정적인 측면 또한 살펴볼 수 있었다. 우선 부차적인 주변 방해요소가 없어 발표자의 발표 태도의 집중도가 높게 느껴졌으며, 결과적으로 참여자의 토론 내용에 대한 몰입도 역시 높았다. 또한, 한국을 기반으로 심포지엄이 개최되지만 동시대 시각 문화의 폭넓고 전문적인 지식을 세계어인 영어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 고유의 시각을 세계에 알리고, 역으로 세계의 다양한 시각을 한국에 알리는 매개체로서 역할에 기대가 크다. 그럼 심포지엄의 내용에 대해 작가별로 살펴보기로 하자.
Sigal Ben-David & Les St. Leon
첫 번째 발표자 Sigal Ben-David은 주로 사진 작업을 하며 Les St. Leon은 유화와 조각을 한다. 둘은 각자 또는 함께 자신들의 작업에 몰두해 공동의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작업의 주제는 그들의 배경과 깊게 연관된다. 이스라엘 출신의 Sigal과 서커스단 가족에서 태어난 Leon이 반복되는 이민과 여행으로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에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둘은 익명의 물건들을 수집해 그것을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새로운 정체성을 입히고, 다시금 그것을 추상적인 사진 작업으로 옮겨 본래의 기능과는 다른 무엇으로 재탄생 시킨다.
그들의 작품은 특정 이미지를 암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추상성은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역할 하는 기억이 본래 아주 개인적인 것으로, 계속해 새로운 해석을 낳는다는 속성에 주목한 것이다. 또한 작품과 관객과의 사이에 필터와 같은 역할이 되기도 한다. 작가가 개입하여 유도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토론은 이런 점이 어떻게 작업 과정에 반영되는지로 이어졌다.
작가는 작품을 위해 물건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우리 삶에 물건의 위치에 대하여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누군가를 알아갈 때 그 사람이 설명하는 자신보다 그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것들로부터 더 많은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된다. 수집과정 중 가장 흔했던 것 중 하나는 인공 조화였는데, 우리 시대가 얼마나 많은 인공물로 둘러싸여 살고 있으며, 인간의 미적 갈망 또한 이해할 수 있었다. 사회에서 문화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해석되고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작가의 작품이 회화나 사진과 같은 특정 매체에 경계를 두지 않고 다양한 분야를 통해 나아가듯 주제 역시 예술을 통해 이러한 사회에 대해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 매우 흥미로웠다.
William A. Brown
William A. Brown의 매체는 비디오이다. 퍼레이드나 페스티벌같이 사람들이 긴장을 풀고 자신들을 역동적으로 표현하는 곳에서 직접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고 속도를 늦추어 재생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미국 도시의 한 퍼레이드의 관객을 촬영한 흑백의 단 채널과 미국과 인도의 퍼레이드를 촬영한 것을 흑백과 컬러로 보여주는 두 채널의 작업을 소개했다.
느린 속도로 인해 우리는 사건을 일상과는 다른 속도에서 바라보게 된다. 이러한 시간의 차이는 일상에서 쉽게 간과되는 것을 재포착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작가가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아도 우리는 자연스럽게 아무렇지 않게 지나가던 일상을 가까이서 들여다보고, 깨닫게 되는 것이 있다.
하이퍼리얼리스틱 또는 서리얼리스틱하게 느껴지는 작가의 리얼리티는 과장 된 모습으로 볼품없고, 추하고, 더럽고, 우스꽝스럽고… 긍정적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인간의 서정성을 배제하는 기분이다. 과연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기계로 관장되는 미래는 어떨까? 또한 기계가 인간을 대체해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
작가가 작품을 제작하는 방식은 일률적이고, 이는 작가의 최소한의 개입으로 사건의 기록물에 가깝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에 드러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은 작가의 선택이라는 사실에서 그의 통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흑백의 단 채널 작품에서 미국의 퍼레이드 중 트럼프에 대한 정치적 반감을 표현하는 장면 등 특정 이미지에 대한 반복이 있는데, 이것은 시선에 대한 작가의 개입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계가 만드는 예술에 인간의 개입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과연 가능할 수 있을까? 예술이 다루는 주제를 포함해 그 배후에는 언제나 인간이 있지 않을까? 기계가 만드는 예술 안에도 언제나 예측 불가능한 인간적인 무엇이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Min-young Kang
Min-young Kang은 인간과 AI의 대화를 보여주는 비디오 작업을 통해 한 폭의 그림과 같이 서정적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작품 안의 인간을 상징하는 목소리는 AI와 어딘가 기묘하지만 동시에 매우 인간적이기도 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것이 흥미로운 이유는 작품의 이미지와 내용 구성 모두 매우 시적인 요소를 가지고 인간의 감정을 짙게 호소하고 있지만, 실제 작품은 기계화되어가는 미래를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명 과학의 발전이 인간의 감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더는 그 경계를 구분 짓는 것이 모호해지고 있다.
이것은 이미 영화 와 같은 대중문화 속에서도 우리에게 각인시켜준 문제이다. 일본의 오타쿠 문화로 자리 잡은 매우 개인주의적인 사회 문화들과 코로나 시대로 퍼지고 있는 비대면 소통 또한 이에 연장 선상으로 보인다. 앞으로 관계란 무엇인지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계속해 내려질 것이다.
인간은 과학이 발전될 수록 고립되고 자연스레 소통에 대한 갈망은 커진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 대해 SF영화가 예견하는 많은 것들이 실현되고 있다. 과연 과학은 인간을 고독으로부터 구제할 것인가? 작가는 이러한 점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작품은 인간과 AI와의 대화를 통해 과학 발전에 대한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는다. 우리는 기술로부터 분명 위로를 받지만 사실 인간의 고독은 밖으로 향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으로 충족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술은 보다 본질적으로 인간의 주체성과 존엄성이 과학의 발전과 함께 어떻게 추구되어야 하는지 깊게 고민해보아야 한다. 그럼 앞으로 예술의 위치 또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작가의 작품이 보여주는 기계와 인간의 감성의 접점을 돌아보고 작가들이 미래의 문화를 어떻게 이끌어갈 수 있을지 상상해 본다.
Eliseo Ortiz
Eliseo Ortiz가 현재 다루고 있는 작품의 결과물은 퍼즐게임이다. 실제 패키지까지 되어있으며, 이러한 패키지뿐만 아니라 참여자가 직접 게임에 참여할 때 작품의 의도가 작동된다. 참여자가 아메리칸 대륙을 완성하는 퍼즐을 맞추기 위해 퍼즐 패키지 디자인과 퍼즐을 돌려 라틴어에서 영어로 번역되는 문장을 읽게 되고, 아메리카 대륙을 바라보는 시점이 바뀌면서 이 시대의 세계관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 국경선은 어떤 의미인지 숙고해보게 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 문장이 의도하는 바를 생각해보면 국가 간의 물리적인 분리 보다 더욱 뿌리 깊은 단절을 조장하고 있다. 이러한 관행은 사실 경제적 부가 우선시 되는 현 사회에 만연하게 퍼지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문화라고 포장되고 있는 경계 지음에 내제한 폭력성을 피할 수 없을지 모른다.
국경선이란 것이 애초에 인간이 인공적으로 만든 선이다. 토론은 쉽게 현대사회의 문제를 반영하는 여러 시사점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특히 지금과 같은 전염병 바이러스로 인한 특수상황으로 인해 21세기의 현상으로 치부하던 세계화라는 말이 무색해질 할 만큼 보이지 않는 국가 간의 경계가 날로 드세지고 있다.
세상은 어떻게 누구에 의해 구분 지어지고 나뉘는 것일까? 작품으로 돌아와서 작가가 왜 이 주제를 택했는지 생각해보게 한다. 국가 간의 경계뿐 아니라 예술 안에서 역시 무엇이 예술인지 선택되는 기준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미 이러한 형태의 문제 제기는 미술사에서 뒤샹의 과 마그리트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반스키의 그래피티와 거리의 설치작업과 같은 작업에서 계속해 제기 되는 문제이다.
기존의 권력과 이를 뛰어넘기 위한 노력이 새로운 세상을 이끌어 가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작가의 작품은 매우 실험적이다. 앞으로 어떠한 형태의 전시를 보여 줄 수 있을지 기대를 품는다.
Agatha Park
Agatha Park은 인터넷 베이스의 참여형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강남프로젝트>라고 불리는 이 작품은 한국의 강남에 성형외과 밀집 지역 지하철 입구에 도배 된 성형 광고를 보여주고, 시민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문구를 그곳에 적힌 문구를 대체하여 보여 준다. 광고의 문구는 여성에 대한 한국의 정형화 된 절대적 미적 기준을 과감히 드러내며 다양성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시민 참여자들은 미적 기준에 대한 자유를 희망하는 다양한 문장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한다.
작품을 통해 사회의 일률적 기준이 아닌 인간 고유의 다양한 목소리를 읽는 것만으로 우리는 어떠한 아름다운 감동을 하였다. 개별적 고유성을 인정받게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현 사회가 어떻게 인간을 해치고 있는지 직접 경험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것이다. 작품은 사회에 정착된 여성의 미적 기준을 비판하는 페미니즘 이슈로 시작하지만 더 넓은 의미로서 인간에게 자유가 무엇이고, 어떻게 되찾아야 하며, 왜 그런지를 느끼게 해준다.
또한 작품은 일반 갤러리 전시실의 흰색 사각형 방이 아니라 인터넷 공간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전시되고 있다. 앞으로 이 시대가 필요할 예술품 전시의 다양한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Jennifer Sova & Jeanne Donegan
사진을 전공한 Jennifer Sova & Jeanne Donegan은 기존의 상업 영화를 재편집한 비디오 작업을 소개했다. 작업은 헐리우드 로맨틱 코미디 영화를 짧은 클립들로 나누어 재구성하고 서로의 소리 효과가 덧붙여지기도 한다.
작업 감상 후 가장 먼저 주목된 점은 헐리우드 영화를 사용하면서 피할 수 없는 키쉬적인 느낌, 대중성이다. 관람자는 영상물에 긴장감과 자극으로 매우 흥미진진하게 빠져들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주제와 같은 맥락에서 작동되고 있다. 하지만 편집을 통해 영화를 볼 때는 주로 스토리라인에 집중하던 시선을 그 배후에 있는 사회적 관습에 눈을 돌리게 한다.
대중문화는 남성 중심의 사고로 기원 되고 있으며 그것으로부터 이어진 폭력성을 과감히 드러낸다. 여성의 성은 상품화되고, 가치는 남성의 관심으로 결정된다. 예술이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숙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작가는 대중문화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드러내지 않고 보여줌으로써 해석에 다양한 가능성을 주고 있다.
21세기 이후 현대 사회의 예술
심포지엄은 작품 활동을 활발히 하는 작가들에 의해 전개되어 서로의 작품을 경험적으로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깊이 있는 통찰이 가능했다. 작품의 결과물뿐 아니라 작업 과정과 연관하여 토론이 이어졌으며, 자연스럽게 예술이 시사 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작가들의 토론은 21세기 이후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데 빠질 수 없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발생하는 사회 문제를 다루도록 했다. 각자의 작품은 각기 다른 주제로 다르게 표현되었지만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공통된 주제로 소통할 수 있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술이 작동하는 원리로 볼 수도 있는 인간의 실존에 대한 문제를 정체성과 인간과 기계, 소통, 의미, 자유, 그리고 그 안에서 대중문화의 역할을 두루 섭렵하며 다루었다. 우리는 이 주제들 안에서 역시 인간의 모순을 완전히 벗어나고 자유를 찾을 수 없었지만 삶과 예술을 더욱 결속시키기 위해 피해갈 수 없는 주제라는 것은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룰 수 있는 작가들의 작품을 심포지엄을 통해 소개할 기회가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다양한 접근방식이지만 결과적으로 이어진 인간성에 대한 성찰을 계속해 CICA 미술관이 이끌어 주어 한국 사회를 포함한 세계로 예술의 가능성에 대한 토론을 해나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