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eah Hyuck Solo Exhibition

    March 31 – April 4, 2021
    2021년 3월 31일 – 4월 4일
    3-A Gallery, CICA Museum

    The aim of my work is understanding myself.

    My practice deals with culture and ambiguous identity. I always struggle with the identity of who I am. Through the Freud’s psychoanalysis, I analyze who I am and sub-burden desire, trauma, memories. I reveal these sub-burden egos to audiences and arouse the feeling of facing reality.

    I am always trying to figure out my identity. However, my identity could not be defined because these, keep changing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fore, I am endlessly trying to regulate who I am within my culture.

    I am playing with the diversity of my cultural background and variety knowledge. My strength is compounding various cultures and find the liminal place. This liminal place lets people into my work and lets them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my reality.

    As an example, the “brain sketch” series is showing my unrevealed thinks and emotion without filtering. So, the layered texts were tabooed in the world, it creates the primitive and chaotic image. Although, the texts were layered and wrote with excavational and emotional base, it perceived for an image which is recognized text. This ambiguous gave confusion to audience and they will try to recognize the texts. This liminal place will make audiences face their own chaos which was ignored and lost. This understanding of my reality is the purpose of my work and what I am trying to pursuit through my art.

    저에게 작업이란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모호한 문화, 정체성, 기호 이러한 것들에서 자 자신을 찾는 것이 저의 작업입니다. 이 여정 속에서 저는 누구인가란 질문을 끝없이 하며 저에게 숨겨져 있던 욕망, 기억, 트라우마 등을 찾아내고 이것들을 관객들에게 보여주어 그들도 인식하지 못하였던 진실 혹은 무시해왔던 것들을 직면하게 합니다.

    이러한 나의 끝없는 질문에도 자아정체성(identity)는 어떠한 말로 형용 될 수 없는 존재이었습니다. 급변하는 사회 속의 자아정체성(identity)란 어떠한 의미가 있다기보단 그에따라 지속해서 변화하는 존재이었고 그에 따라서, 저는 끝없이 저에게 내가 누구인지 질문을 합니다. 이에 따라서 정체성이란 다양한 지식과 문화적 배경, 사회의 이면들을 담고 있습니다.

    저의 작품의 강점은 이러한 요소들을 합쳐서 만들어낸 그 모호한 위치(liminal place)를 찾아내서 복잡함이라는 생각을 유발하여 관객들을 성찰하게 만드는 데에 있습니다.

    하나의 예로서, 저의 대표작인 “딴 생각” 시리즈는 이런 저의 감쳐져 있던 무의식을 들어내는 작업으로 떠오르는 말을 여과없이 분출하여 이미지와 같은 모습으로 드러낸 작품입니다. 때문에 “딴 생각” 시리즈는 분출된 단어들은 무의식적 욕망 충동 수치를 내포합니다. 또한 겹겹이 쌓여진 단어들이 서로 뭉쳐서 이것이 단어라고 인식되지만 단어로서 습득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관객들에게 무의식(문화나 사회)의 모호함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관객들은 저의 혼동으로서 자신들의 혼돈을 직면하고 “딴 생각”이라는 제목과 같이 지금의 내 사회속의 나에서 벗어나 딴 생각을 유발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로서 저의 작업은 관객들에게 복잡함과 무의식에대한 직면을 시킴으로써 사람들은 스스로를 성찰하고 그 생각 속에서 자신만의 진실을 찾아내게 하는 것이 작업을 하는 이유입니다.

    Jeah hyuck works with performance, film, sound, installation and painting. Taking inspiration from his life, he reveals hidden memory, trauma and emotions, which were tabooed in society.
    Jeah hyuck is from South Korea, but he spent his elementary period in the Philippines and studied BA fine art in the Goldsmiths University. He mainly exhibited in the UK and Korean. Currently, he is trying to expand artistic area. For Cica museum solo exhibition, Jeah hyuck presents his films and brain sketch series.

    최재혁 Jeah hyuck 작가는 영상, 퍼포먼스, 사운드, 설치, 평면등의 다양한 분야의 작업을 하고있습니다. 주로 숨겨진 기억이나 감정과 트라우마등의 사회에서 거부된 것들을 끄집어 내는 작가입니다. 그는 한국에서 태어나 goldsmiths university 에서 fine art학사를 취득 하였고 주로 영국과 한국의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재에 그의 목표는 자신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입니다. 이번 CICA에서는 최재혁 Jeah Hyuck작가의 영상작업물들과 딴생각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Jeah Hyuck 최재혁, “딴생각 (brain sketch ) 2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