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iseon Gong Solo Exhibition

    September 11 – 15, 2019
    2019년 9월 11– 15일
    M Gallery, CICA Museum

    Yawn

    Shortly after sharp blades cut the naval cord, a bitter weeping sound fills the air. What makes the innocent individual who just has arrived in the world cry despairingly? The loud and agonized cry is a flare fired to let the world another individualjoin the race to the vanishment, the final destination and the unavoidable fate of all. Life is a chain of tiles and we as a human being moves our steps blankly to the next tiles. Every step continuously brings us to the permanent end. All become disillusioned with and sick of taking endless steps mundanely. However, no one wants to stop taking the step ironically.

    The mundane life we take for granted has long been drifted. The lofty values and dignity that we had pursued and that allowed us to enjoy the good old days are no concern of usanymore. The hymn to the human being has faded away for a long ago. Forgetting the reason of existence, we all are living a consumable life where humans are used and are disposed of by necessity, becoming the expendable components of the world. The consumable individuals are even excluded from their own life, continuously experiencing a sense of loss and emptiness.

    After the long drifting journey, we as a human being have become broken down. Losing the reason of our existence, we aimlessly pursue a longer life. Nothing can get back us to the authentic status and, it just take longer for us to reach the end of the miserable drifting journey than before.

    Through my works, I’d like to describe individuals’ lives which haven’t been recorded before. To be more specific, the purpose of my works is to keep a record of individuals’ consumable lives that they were forced to lead as components of the world, losing the long-pursued lofty values. Plus, I intend to shed light on emotions aroused when consumable individuals have no choice but to adapt to that lives.

    I record individuals’ lives in a various way and, in doing so, my thoughts or thoughts of a person who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lives are involved. Their bodies are the primaryvisualized images, proving that they exist here and now. More closely intertwined with a story, their bodies begin to be regarded as objects.

    Their lives narrated by me become a work of art and are showcased to the world, being recalled by the public. In my works, their lives are used as an instrument, exaggerated and exposed to others and are even sold to be owned by others, repeating the ironical situation.

    My works are not only to criticize the meaning of our hollow lives comprised of chronological images of the agony, life and vanishment which certainly happen separately but are combined as one in the end, but also to praise that lives ironically. It can also be said that my works are the self-portrait of people of today who are used as consumable instruments and discarded after fulfilling the reason of theirexistence, failing in espousing the lofty values and continuously feeling a sense of emptiness and hollowness.

    서슬이 탯줄을 자름과 동시에 울음이 터져 나온다. 눈도 채 뜨지 못한 생명은 무엇이 그리도 서러운지 목 놓아 부르짖는다. 이것은 죽음으로 향하는 첫 신호탄, 존재의 최종 목적지는 무(無)이다. 그 어떤 것도 소멸이란 결말을 피해 갈 수 없다. 그리하여 생명은, 발걸음 마다 빼곡히 박힌 일상의 타일을 밟고 죽음의 결말을 향해 쉴 새 없이 걸어 나간다. 이 고루하고 지겨운 반복 속에서 사람들은 환멸을 느끼지만 그 길목을 떠나고 싶어 하지 않는다.

    의무적으로 받아들이는 일상은 이미 목적을 잃은 지 오래다. 더 이상 인류는 스스로 가치의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들을 정점으로 올려놓았던 고착적 숭고와 존엄에 집중하지 않는다. 인류에 대한 칭송은 오래전 이미 추락했다. 개인은 존재의 가치를 잃은 채 필요에 의해 사용되고 필요에 의해 처분되는 소모품적인 삶을 살아간다. 세상의 부품이 된 이들은 자신들의 삶에서도 배제 된 채 상실의 연속만 경험할 뿐이다.

    결국, 오랜 일정에 병든 생명은 생(生)의 목적을 잃고 명(命)만 남긴 채, ‘보다 더 오래 살기 위해 보다 더 오래 살길’ 원한다. 완치는 없다. 그저 지연시킬 뿐.

    나는 작업을 통해 기록되지 못한 개인의 삶을 서술하고자 한다. 이는 숭고함에서 벗어나 처절한 순기능, 즉 도구성에 놓인 소모품적인 개인을 채집하고자 함이고 순응할 수밖에 없는 필연적 상황에 놓은 개인의 감정과 흔적을 재조명하기 위함이다.

    작품에서 개인의 삶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록되며 그 기록의 과정에는 개인의 삶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타인인 ‘나’의 사유가 개입된다. 현 시대에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1차적 시각 이미지인 육신(肉身)에서 비롯된 사유는 물성에서 멀어져 이야기에 가까워질수록 육(肉)과는 상관없는 물건(物件)으로 변형된다. 이렇게 작업으로 재구성된 그들의 개인적 삶은 ‘작품’ 으로 사람들에게 보여지고 상기된다. 내 작품 속에서 이들은 더욱더 도구화 되고 과장된 채 타인에게 보여 지고 스스로를 판매하며 누군가의 소유가 되는 아이러니를 반복하는 것이다.

    분명히 개별적으로 보이나 결국엔 고통과 삶, 그리고 소멸이란 순차적이란 이미지로 묶여 결국에는 이야기로 분류되는 작품들은 비어버린 삶의 의미를 비판하며 역설적이게도 삶(개인)을 예찬한다. 이는 현 시대에 존재하는 개인의 자화상이자 가장 숭고하길 원했던 폐기물이며 그 목적을 다 한 지속적 허망이다.

    Jisun Gong “YOU”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