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Eun Hye Kim Solo Exhibition

    3-A Gallery, CICA Museum
    July 23 – 27, 2025
    2025.7.23 – 27

    Cloud in pixel

    This exhibition functions as a temporary sensory gap, freed from linguistic dominance. Visitors slowly navigate a dense, vapor-filled space, where forms dissolve and spatial distance disappears, evoking a solitary state of perception. Visual information is intentionally blurred, leading the audience to rely increasingly on tactile perception—such as the surface underfoot and the subtle convection of air and body temperature. Within this suspended visual field, hearing emerges to the forefront. Nonverbal remnants—coughs, breaths, echoes of laughter—are scattered irregularly throughout the space, stripped of words and structured language. These sounds belong to the margins of speech, often edited out or erased, detached from the core of dialogue and discourse. Here, sound functions not as a conveyor of meaning but as a residue of unassimilated emotion, or the involuntary expression of the unconscious subject. Amid these gaps between sound and silence, the viewer encounters sensations that cannot be spoken, emotions that remain unexpressed, and identities that resist linguistic fixation. In that moment, the viewer becomes isolated—not in severance, but in a state of potential, descending into the deeper layers of being. It is a withdrawal from discourse into a listening mode, where transcendent sensation operates before meaning. The exhibition proposes an experimental space beyond the dominance of language, where sensation and being are reconfigured. Within this space, the viewer is invited into an act of perception and reflection, navigating flows of nonsignifying sensations free from linguistic control.
    이번 전시는 언어적 지배로부터 일시적으로 벗어난 감각의 틈새 공간으로서 작동한다. 관람자는 수증기로 채워진 밀도 높은 공간을 천천히 걸으며, 형체가 해체되고 거리감이 무화된 시야 속에 홀로 존재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시각 정보는 의도적으로 흐려지며, 관객은 자신의 촉각적 지각 (발 밑의 표면 감각, 공기와 체온의 미세한 대류)에 점차 의존하게 된다. 이 정지된 시야 속에서 청각은 전면으로 부상한다. 전시장에는 말과 문장이 제거된 채 남은 비언어적 음향(헛기침, 숨소리, 웃음의 잔향)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소리들은 대화나 담론의 중심에서 탈락한 채, 보통은 편집되거나 지워지는 ‘말의 여백’에 해당한다. 여기서 음향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가 아니라, 사회적 언어 체계에 편입되지 못한 감정의 잔재, 혹은 의도되지 않은 주체의 무의식적 발현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소리와 침묵의 간극 속에서 관람자는 말할 수 없는 감각, 표현되지 않는 감정, 그리고 언어로 고정되지 않는 정체성의 잔상을 마주하게 된다. 그 순간 관람자는 고립된다. 하지만 이 고립은 단절이 아니라, 오히려 존재의 내면 깊은 층위로 침잠할 수 있는 가능성의 상태이다. 즉, 외부의 담론 구조에서 물러나, 귀 기울이는 시간 ‘초월적 감각이 의미에 앞서 작동하는 순간’이 펼쳐진다. 이 전시는 말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잠시 벗어나, 감각과 존재를 다시 구성하는 실험적 공간을 구성한다. 그 속에서 관객은 언어적 통제가 해제된 상태에서, 비의미적 감각의 흐름을 통해 자기 자신을 인지하고 사유하는 행위로 초대된다.

    Eunhye Kim explores how sensory structures are shaped and regulated by systems of social power, using immaterial media to disrupt dominant modes of perception. By deliberately destabilizing the visual and linguistic order, she reconfigures the sensory hierarchy, restoring non-verbal emotions and perceptual fragments that are often marginalized or suppressed. In her work, space is no longer a neutral site of transit but a charged zone where invisible, formless, and affective subjectivities emerge. Her installations propose a temporary state of isolation from social discourse—a condition that allows for the recovery of sensory autonomy and the reactivation of personal identity. Through this spatial practice, Kim continuously reconsiders the entanglement between power, perception, and the conditions of being.
    김은혜 작가는 감각의 구조가 어떻게 사회적 권력에 의해 형성되고 통제되는지를 비물질적 매체를 통해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작가는 시각과 언어 중심의 지각 질서를 해체함으로써, 감각의 위계를 재배치하고 그 틈에서 탈락되거나 억압된 비언어적 감정과 감각을 복원한다. 이 과정에서 공간은 더 이상 익명적 통과지점이 아니라, 비가시적이고 비정형적인 감각의 주체가 잠재하는 장소로 전환된다. 작가는 사회적 규율과 담론으로부터 벗어난 일시적 고립의 상태를 제안하며, 이는 곧 감각의 자율성과 개인적 정체성 회복의 계기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감각과 권력, 존재의 조건을 새롭게 사유하는 공간적 실천을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