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청아 개인전
CICA Museum, M Gallery
January 24 – 28, 2024
2024.01.24 – 28
37°N, 126°E
해당 전시공간은 작가는 작품을 직선적으로 배치해, 마치 심층적으로 작가의 세계를 파고 들어가 탐구하는 느낌을 관객에게 안겨주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전시실 내에 입장하면 가장 표면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영상을 응용한 설치작품 ‘주관적인 것, 객관적인 것’을 볼 수 있다. 해당 작업은 작가의 신작 중 하나로, 겹겹이 설치된 반투명한 천이 씌워진 판을 투사해가며 영상들이 다중으로 복제, 점진적 소멸을 보여주며, 개인과 개인 사이, 개인과 집단 사이의 간극, 해당 작품에서는 특히 물리적 거리를 비(非)공감, 즉 주관성과 객관성을 가르는 주요한 요소로 정의해 풀어내었다.
‘주관적인 것, 객관적인 것’을 지나면 맞이할 수 있는 천장에서 늘어트려진 수십 개의 천들인 ‘선천적 웅얼거림’은 가장 전시장의 내밀한 곳, 작가가 항시 다루는 ‘이미지’에 대한 가장 순수한 관점으로 표현된 작품에 향하기 전에 관객에게 일종의 통과해야하는 신성한 곳들의 입구, 절, 사찰 등에 설치되곤 하는 정문과 동등한 역할을 수행한다. 천들에 새겨진 글들은 작가가 소장한 서적, 특히 시집들 중에서 형용사와 명사들을 무작위로 추출, 배치해 완성된 글귀들을 직접 천에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 변형해 놓았다. 어떠한 것들은 읽을 수 있으며, 어떠한 것들은 알아보기조차 힘들다. 이러한 방식은 관객에게 있어 각기 다른 방식의 ‘받아들임’, 즉 작가의 작품과 세계관을 접하게 되는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작업은 직접 관객이 헤치고 내밀히 들어가야 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러한 ‘모험적 행위’을 통해 관객은 더 깊이 작가의 가장 순수한 내면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천들을 비집고 나아가면 전시장 가장 안쪽에 비치된 작품, ‘대나무는 말이 없다’가 놓여져 있다. 해당 작품은 작가가 주요 매체로 사용하는 이미지의 가장 기본적인 물성, 복제와 변형, 유포에 대한 탐구를 보여주는 작품이며 작가가 예술가로서 자리잡게 된 전시에도 설치되었던 초기작 중에 하나이다. 동일한 대나무 숲을 촬영하고 해당 영상을 crt모니터에 상영되는 것을 재촬영, 재촬영 된 영상은 같은 위치의 대나무 숲에서 또다시 프로젝터로 투사된 뒤 촬영되는 행위를 총 세번 반복되어 조금씩 변형되어 가는 대나무 숲을 보여준다.
이러한 단계들을 거쳐 마치 지구의 구조(맨틀, 외핵, 내핵)와 같은 하나의 행성, 즉 하나의 작은 세계의 단면을 엿봄으로써 작가는 2023년 한 해 동안 INTRODUCTION, 즉 서문으로 시작된 1년여에 걸친 사적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작가는 현재 세종에 기거하며 현대 사회에 있어 가장 흔하게 소비되는 것, 이미지를 주요 소재로 삼아 이를 변형, 의도적 훼손, 복제를 통한 ‘유희적 행위’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어떻게 ‘이미지’로서 소비되는지, 혹은 특정 의도가 있는 집단 아래 개인의 이미지가 타의적으로 변형, 조작되는 현상을 영상, 설치, 직판화 등의 기법으로 연구한다. 2020년 영국 왕립예술대학(RCA)에서 Visual Communication 석사학위를 수학, 취득했으며, 이래로 리 미술관 레지던시 상주작가 및 대다수의 단체전과 개인전에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