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eyeon Park Solo Exhibition

    박세연 개인전

    M Gallery, CICA Museum

    June 8 – 12, 2022

    2022.06.08-12

    Thresholds (가제)

    2019년 12월 이후, 우리는 지금 인류의 역사상 유래없는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의 시대에 살고 있다. 물론 이전에도 14세기의 흑사병, 19세기의 스페인 독감이라는 전염병(바이러스)의 습격은 있었지만 지금과는 양상이 다르다.(천연두로 인한 피해도 극심했으나 백신의 개발로 인해 1979년이후에는 보고되지 않으니 여기서는 말을 줄인다). 나는 이 시기의 이 비극적인 상황을 좀 다른 시각으로도 보고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지구는 살아 있는 유기체이고 이 유기체는 자신이 겪고 있던 기후위기, 지구온난화라는 현실 속에서 비명을 질러 우리에게 경고를 하고 우리는 그경고를 듣고 다가올 가까운 미래를 미리 대비해 보는 기회를 가졌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중 가장 다행인 것은 인류는 이 전 시기에 디지털이라는 지속가능하고 공간제약이 없는 매체이며 공간을 발명해 놓았고 웹1.0 ver에서 웹 3.0 ver 살고 있는 2021년의 우리는 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만한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 속 팬데믹 시대의 아티스트들은 이 비극의 시대를 버티고 살아내며 새로운 계조와 풍의 작업과 세계관을 만들어 내었다. 예를 들면 14세기의 흑사병을 견딘 작가들은 인본주의의 ‘르네상’를, 스페인 독감은19세대 말 20세기 전반의 인류에게 지대한 상처를 남겼지만 문학과 예술에서는 시기적으로 1차세계 대전과 묶이면서 ‘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 문예운동은 바로 다음으로 일어나는 인류의 대재앙 2차 세계대전의 시대를 지나며 20세기 이후의 ‘모더니즘’으로 이어지고 1960년대 이후 기존의 모더니즘을 해체하려 시도하는 다원성의 포스트모더니즘이 나타난다. 나는 이러한 다양한 사회적 시대적 변화를 역사적으로 또는 미술학적으로 공부를 하며 선택과 결과에 따른 인과라는 개념에 집중을 해 왔고, 그렇다면 그 인과 속에서의 존재의 가치에 대해 생각을 하며 그 모습을 시각화하기위해 노력을 하고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하며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이번에 프로젝트의 제목으로 선택한 ‘threshold’는 한국말로 번역을 하자면 문턱이라는 뜻인데 이는 디지털 미디어가 창작자의 툴로 변화되는 시대를 나타내기에도좋은 표현인 것 같다. (개인적으론 아날로그 사진으로 시작해 순수미술 그리고 컴퓨터 아트를 전공한 나의 커리어 그리고 표현기법을 나타내기에도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영단어에 정관사 the를 붙이면 사물의 시작, 발단, 출발점 이라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이 단어는 무언가의 끝, 말단, 경계지, 한도, 한계점 혹은 범위로도 해석이 된다. 과정을 관찰하고 질문을 던지는 작가인 나에게 이처럼 잘 어울리는 프로젝트 제목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작업을 구상하면서 나는 먼저 무언가 기체화된 텍스쳐와 픽셀화된 이미지들을 동시에 머리 속에서 구상하게 되었는데, 이는 그동안 내가 해오던 Pawn이라는비디오 작업의 연장선에 있기도 하다. Pawn은 체스에서 나오는 장기의 졸에 해당되며 나는 이 작업에서 성공으로 정의되는 무언가를 위해 희생되는 다수를 보여주고자 했다. 그리고 이 작업을 위해 만들어져 파는(ready-made) 장난감병정을 구입해 도색 및 밑작업을 수작업하고 마이크로렌즈를 이용한 디테일한 촬영으로 눈금이 그어진 비커의 물속에 구현한 작은 사회를 흰색, 빨간색, 검정색의 배경색의 변화와 함께 조용하지만 시끄럽고 하지만 느리게 변화하는 그 축약한 우리 세계의 모습을 통해 간접적이지만 직접적인 메세지를 던지고 질문을 던지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촬영 후에 나온 결과물을 가지고 또 후속작을 만들었는데 이는 ‘Limbo’라고한다. 제목과 내용은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을 받았고, 전작의 촬영의 과정에서 가장 상처받은 300개의 오브제들중에 몇몇개를 추스려서 Limbo라는 지옥도 천국도아닌 가상의 임의의 공간을 프레임안에 구축하고 “속하지 못하는 자”라는 이미지를시각화 하기 위해 부유Floating)하는 느낌을 주고자 했다. 그리고 위 두 작품에서 같은 사운드트랙을 사용하여 작업의 연속성(Sustainability)를 주었다.
    이 위의 두 프로젝트는 외부에서의 시각이다. 나는 약 20년동안 카메라를 주로 이용한 관찰자의 시선에서의 작업을 주로 해왔다고 생각을 하는데 내가 생각하는 시각적 디지털 미디어:가상현실 (VR), 증강현실(AR)은 사물의 시각, 즉 내부의 시각이라는 생각을 한다. 위에서 설명한 작업들 외의 전작에서 나는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해 물이 흐르는 파이프를 촬영하는 작업을 해 보았는데 (성공적이진 못했다.) 이렇게 카메라의 위치만 변화를 통해 우리는 생각의 방향성과 이해가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말놀이라 부를 수 있는 언어의 다양한 뜻 변화를 즐겁게 생각하며 작업하는 나에게 시선의 각도의 변화 그리고 그 작업은 어떻게 보면 필연적이라 생각된다.
    지금 구상하고 있는 작업의 매체는 VR이 될 가능성이 크다. 지금 나는 VR이라는 내부관찰이 가능한 매체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 그리고 유니티(Unity)와 언리얼엔진(unreal engine)이 두 소프트웨어를 독학하며 작업을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이 가상현실속에 구현될 환경 속에 모션 트레킹이나 제스쳐 감지 기능을 추가하며 작업과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그 행위를 통해 선택과 결과라는 과정을 이 작업의 스토리텔링 속에 추가하고 질문을 던지고 싶다. 이 때 사용하게 되는 매체는 VR 헤드셋과 컨트롤러일 것이고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leap motion controller나 아두이노를 이용한 다른 기기를 만들어서 새로운 도전을 하고 싶기도 하다. 나는 이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이 작은 기체형 미로(maze)속에서 만지면 사라지고 혹은 나타날 무언가 속에 존재라는 의미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을관객들이 도출해 낼 수 있기를 소원한다.

    Since December 2019, we are now living in an era of pandemic caused by a virus unprecedented in human history. Of course, there have been outbreaks of epidemics (viruses) such as the Black Death of the 14th century and the Spanish flu of the 19th century, but the pattern is different from now. reduce speech). I see this tragic situation at this tim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or example, that the Earth is a living organism, and this organism screams to warn us in the realities of the climate crisis and global warming it is experiencing. And we think we have had an opportunity to listen to that warning and prepare for the near future ahead. And the most fortunate thing is that in the previous period, humans were digital, a sustainable and space-free medium, and invented space. that there is And the artists of the pandemic era in history have endured and survived this tragic era, creating new gradations and styles of work and worldview. For example, the artists who endured the Black Death of the 14th century suffered a ‘renaissance’ of humanism, and the Spanish flu left a profound scar on mankin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 and ‘surrealism’. And this literary movement goes through the era of the Second World War, the catastrophe of mankind, which leads to ‘modernism’ after the 20th century, and postmodernism of pluralism that tries to dismantle existing modernism after the 1960s appears. While studying these various social and temporal changes historically or artistically, I have been concentrating on the concept of causation according to choices and results. He continues his research by making efforts and asking questions to the audience.
    The word ‘threshold’, chosen as the title of the project this time, is translated into Korean and means threshold which is small step between door and path to cross. And if you add the definite article to this English word, it is also used as an expression of the beginning, beginning, and starting point of things. But at the same time, the word can also be interpreted as the end, end, boundary, limit, limit or range of something. As an artist who observes the process and asks questions, I don’t think there is any other project title that suits me so well.

    While conceiving this work, I first came up with a vaporized texture and pixelated images in my head at the same time, which is also an extension of the video work I have been doing called Pawn. Pawn is the pawn of the chess chess game, and I wanted to show the majority in this work being sacrificed for something that is defined as success. Then, I bought a ready-made toy soldier for this job, painted and painted it by hand, and took detailed shooting using a micro lens to create a small society in the water of a graduated beaker, with white, red, and black background colors. It is intended to send an indirect but direct message and ask questions through the appearance of our compact world, which is quiet but noisy but slowly changing with the change of. And I made a sequel with the results that came out after filming, which is called ‘Limbo’. The title and contents were inspired by Dante’s ‘New Song’, and in the process of filming the previous work, some of the 300 objects that were most wounded were selected to build a virtual random space called Limbo, which is neither hell nor heaven, in the frame. In order to visualize the image of “those who do not belong”, we tried to give a feeling of floating. And in the above two works, the same soundtrack was used to give the work continuity. These two projects above are from the outside. I think that for about 20 years, I have mainly work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using a camera. do In my previous work other than the works described above, I tried to photograph a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s using an endoscope camera (which was not successful). I think that by changing only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direction and understanding of our thoughts change. For me, who enjoys working on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language, which can be called a play of words, the change in the angle of my gaze and the work seem inevitable in some way.
    The medium of the work we are currently envisioning is highly likely to be VR. Now, I am very interested in a medium that can be observed inside VR. And Unity and Unreal Engine are selftaught and work on the two softwares. And, if possible, add motion tracking or gesture detection to the environment to be implemented in this virtual reality to enhance interac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and through the action,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outcome is added to the storytelling of this work and asking questions. want to throw The medium used at this time will be a VR headset and controller, and if technically possible, I would like to take on a new challenge by making a leap motion controller or other device using Arduino. I hope that in this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little gaseous maze, viewers can come up with different ideas about the meaning of being in something that will disappear or appear when touched.